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단체ㆍ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남부지역 논 삼모작시대 열린다
기사입력 2013-12-17 09:03 | 기사 : 농촌진흥청
카카오톡

벼와 조사료를 세 차례 이어짓는 3모작 재배기술이 개발돼 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면서 축산 농가의 사료값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남부지역 3모작 재배를 위한 현장 실증 연구를 통해 5월에 조생종 벼, 9월에 하파귀리, 11월에 호밀을 이어짓는 삼모작 재배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작물의 생산성과 경지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일찍 여무는 벼, 추위에 강한 조사료 등 숙기가 다양한 품종과 지역에 알맞은 작물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삼모작 재배기술은 조생종 벼(조평), 하파귀리(하이스피드), 호밀(곡우)을 이어짓는 기술로 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면서 이모작 재배보다 조사료를 한번 더 생산할 수 있다.

삼모작 재배기술의 현장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해 익산지역에서 2012년 11월 1일 호밀(곡우)을 파종해 올해 4월 30일 수확하고, 5월 6일 조생종 벼(조평)를 심어 8월 22일 수확했으며 8월 28일 하파귀리(하이스피드)를 파종해 10월 27일 수확했다.

현장실증 평가에서는 1ha당 벼 재배로 682여만 원, 하파귀리 생산으로 276여만 원, 호밀 재배로 139여만 원 등 모두 1,097여만 원의 소득을 올려 벼+보리 이모작 재배보다 35 % 소득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벼+보리 이모작 소득분석 :벼 578만원+보리 233만원=811만 원(2012년도 우리나라 평균 재배소득)

이미지 대체 내용을 작성합니다.

농촌진흥청은 내년까지 논 3모작 실증시험을 거친 뒤 2015년부터 남부평야지를 중심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벼맥류부 박기훈 부장은 “3모작 재배기술이 농가에 보급되면 쌀 생산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수입에 의존하는 사료를 일부 국산으로 대체해 축산 농가의 사료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라며, “앞으로 다양한 품종과 재배기술을 알맞게 조합해 농가소득은 물론 경지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안정적인 지역맞춤형 재배조합을 개발할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맥류사료작물과장 박광근 063-840-2107


[자료제공 :(www.korea.kr))]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