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농업기술 혁신으로 국민 행복시대를 선도하는 농촌진흥청이 창조농업의 발판을 마련하고 농업ㆍ농촌과 함께 새로운 도전을 다짐하는 자리를 가졌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20일 녹색혁명의 산실에서 농업인ㆍ소비자ㆍ학계ㆍ유관기관 대표와 지방농촌진흥기관, 청 직원 등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3년 농촌진흥사업 종합보고회’를 개최했다.
올해는 새 정부 출범에 발맞춰 ‘생산-유통-관광’이 하나되는 농업의 새로운 발전모델 6차 산업화에 농업인, 국민과 함께 한해를 쉼 없이 달려온 한 해로 농촌진흥청은 정책제안 300여건, 영농활용기술 1,200여건, 산업재산권 출원 및 등록 757여건, 기술이전 420여건,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9건 선정 등의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결과를 인정받아 책임운영기관평가 최우수상 수상,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 지역발전사업 최우수 등 조직운영과 성과관리 28분야(53점)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국민 식량의 안정적 공급, 농업경쟁력 강화로 국가발전 견인, 바이오기반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 지속가능한 농업ㆍ농촌 실현, 농촌 활력화와 농업인 역량 향상 및 글로벌 농업기술협력 강화 등에 노력해 왔다.
2013년은 창조농업의 씨앗을 뿌리고 결실을 맺는 한 해로서, 종합보고회는 함께 땀 흘린 대내외 유공자에게 포상하고 상생발전의 협력의지를 다지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3년 최고연구원상은 봉독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 국립농업과학원 한상미 박사와 설갱벼를 이용한 농가와 산업체가 상생하는 창조농업 성공모델을 제시한 국립식량과학원 오세관 박사가 수상했다.
지방연구원 중에서는 환경변화에 따른 수박 품종육성 및 주년생산 체계를 구축한 전라북도농업기술원 노재종 박사가 최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그 밖에도 한국농업기술보급대상, 우수기관상, 대한민국 최고농업기술명인, 홍보대상 등 총 53명(기관)에게 수여되었다.
이 날 종합보고회에서는 각 부문별 대표 수상자 4명이 연구와 기술보급 과정에서의 성공과 실패, 희망과 공감을 참석자와 이야기하며 함께 참여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미래도전에 대한 공유의 장이 되도록 진행되었다.
* 수상자 발표
- 봉독의 재발견(국립농업과학원 한상미 박사)
- 설갱벼를 이용한 창조농업 성공모델 개발(국립식량과학원 오세관 박사)
- 화훼 신품종 육성 및 산업화(경남농업기술원 이병정 연구관)
- 나의 작은시도가 밑거름이 될 수 있다(강원도 철원군센터 이상화 지도사)
또한 보고회에 참석한 모든 이들이 농업ㆍ농촌을 위한 ‘창조’, ‘도전’, ‘상생’, ‘감동’, 그리고 ‘행복’의 의미를 담은 퍼포먼스를 통해 창조농업의 실천방안을 공유하였다.
그 밖에도 각 연구실에서 1년 동안 노력한 연구자료, 수상자들이 개발한 우수성과와 9개 지방을 대표하는 지역특성화사업 성과 전시를 비롯해 행사 참석자에게 잔잔한 감동을 줄 문화공연도 진행되었다.
농촌진흥청 이양호 청장은 이번 행사는 “농촌진흥 가족과 농업인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2013년 농업ㆍ농촌을 되돌아보면서 노력의 결실을 함께 축하하고, 2014년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연구성과관리과장 최유림, 연구성과관리과 나영왕 031-299-1957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