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단체ㆍ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DNA 바코드로 곤충 종류 빠르게 알아낸다
기사입력 2013-11-28 09:18 | 기사 : 농촌진흥청
카카오톡

곤충의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 어느 단계든 DNA로 곤충의 이름을 알아낼 수 있도록 곤충 DNA 바코드를 만들었다.

DNA 바코드란 생물의 유전정보 일부를 이용해 종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유전자 신분증으로, 생물 종 판별에 이용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쉽고 빠르게 곤충자원의 종류를 판별해 자원 활용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국내 곤충 1,700종의 DNA 바코드를 분석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곤충은 종이 다양하고 알-애벌레-번데기-성충에 이르는 복잡한 성장단계로 인해 대부분의 곤충은 성충이 돼야 종의 분류가 가능했다. 특히 애벌레로 종을 분류해야 할 경우, 성충이 될 때까지 사육하는 등 종 동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다.

이번에 1차로 분석해서 정리된 DNA 바코드는 총 1,700여 종으로 국내에 기록된 전체 곤충 1만 4,000여 종의 12 %다.

이 DNA 바코드를 이용하면 최대 여러 달 이상 걸리던 종 분류가 4∼7일 만에 가능하며, 형태적으로 혼동돼 구별하지 못했던 종을 식별해 신종 곤충뿐만 아니라 자연에서 이뤄지는 잡종 현상도 밝혀낼 수 있다.

이미 남한 토종나비 202종의 DNA 바코드를 전부 분석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며, 오색나비와 황오색나비 등 자연에서 일어나는 잡종현상을 증명한 바 있다.

농촌진흥청은 지금까지 축척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3,000종의 곤충 정보가 담긴 DNA 바코드 라이브러리를 만들 계획이다.

앞으로는 일반인이 곤충의 표본을 DNA 분석업체에 의뢰하고 결과로 나온 유전자 서열을 인터넷상의 바코드 라이브러리에서 직접 비교해 곤충 종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농촌진흥청 곤충산업과 박해철 연구사는 “1차로 분석한 1,700종의 DNA 바코드 정보로 곤충의 종류를 쉽고 빠르게 알 수 있게 됐다.”라며, “이를 통해 곤충산업은 물론 해충 및 유전생태계 교란 탐지 등 곤충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곤충산업과장 강필돈, 곤충산업과 박해철 031-290-8535


[자료제공 :(www.korea.kr))]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