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한경연 “2010년 이후 자영자 가구 소득불균등 심화”
기사입력 2015-09-09 21:40 | 기사 : 최영 기자
카카오톡
  자영자 가구의 소득불균등이 2010년을 기점으로 심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 www.keri.org)은 ‘자영자 가구의 소득불균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토대로 진행됐다.

최근 5년간 자영자의 소득불균등이 심화된 반면 임금근로자의 소득불균등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2010년 자영자의 지니계수는 0.266으로 임금근로자 0.281와 0.015 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자영자 지니계수가 꾸준히 높아져 2014년 0.271 수준까지 상승했다. 반면 임금근로자의 경우 지니계수가 2008년 이후 점차 낮아져 2014년 0.272로 나타났다.

가구주 외 가구원 경제활동 부진, 자영자 가구 소득불균등 악화 원인

한경연은 자영자 가구의 소득불균등이 악화된 원인으로 가구주 외 가구원의 경제활동 부진을 꼽았다. 기타 가구원과 배우자가 벌어들이는 소득인 부(副)소득원천이 감소하면서 소득불균등이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2014년 부소득원천이 0인 자영자 가구의 비율이 51%로 2012년에 46%에 비해 약 5%p 상승하는 등 해당 가구의 비율이 최근 높아지면서 소득불균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임금근로자 가구의 비율은 2012년 이후 45%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진영 부연구위원은 “임금근로자는 소득불균등이 완화되는데 반해 자영자 가구는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며, “청년 고용을 확대해 기타 가구원의 소득창출력을 강화하는 하는 등 소득불균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또 “자영업 컨설팅 지원과 직업 훈련 등을 통해 사업소득을 높이고 영세한 한계자영자를 대상으로 복지정책을 재정비해야 한다”며,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비자발적 자영자 증가를 방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우자 근로소득은 자영자보다 임금근로자가 많아

한편 자영자 가구는 임금근로자 가구에 비해 배우자 근로소득이 절대적 액수와 상대적 비중 모두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배우자 근로소득은 자영자의 경우 18만 원, 임금근로자의 경우 31만 원을 기록했다. 같은 해 경상소득에서 배우자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자영자의 경우 8.4%, 임금근로자의 경우 13.3%이었다. 반면, 기타가구원 근로소득은 자영자 가구가 임금근로자에 비해 절대적 액수와 상대적 비중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타가구원 근로소득은 자영자의 경우 20만 원, 임금근로자의 경우 14만 원이었다. 같은 해 경상소득에서 기타가구원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자영자의 경우 9.5%, 임금근로자의 경우 6.2%였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