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단체ㆍ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바이오(Bio) 기술로 ‘삼겹살 맞춤형 돼지’ 양산!
기사입력 2013-12-03 09:21 | 기사 : 특허청
카카오톡
바이오(Bio) 기술로 ‘삼겹살 맞춤형 돼지’ 양산!
- 맞춤형 종돈 개량을 위한 ‘육질 진단용 유전자 마커’ 특허동향 -

특허청(청장 김영민)은 ‘맛좋고, 육즙이 많으며, 삼겹살 함량까지 높은 돼지’를 유전자 마커로 선별하여 ‘소비자 맞춤형 종돈’으로 개량하고자 하는 발명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삼겹살에 편중된 우리나라 국민의 소비성향에 따른 돼지고기의 부위별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을 해결하고, 값싼 수입육에 대해 경쟁력을 갖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삼겹살이 많은 돼지를 선별해 내기 위한 유전자 마커로는 돼지의 육질이나 지방 함량 등에서 개체별 차이를 나타내게 하는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이용한다. 이 유전자 마커는 종래의 육안으로 돼지 육질을 선별하는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고, 삼겹살이 많은 돼지, 삼겹살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적은 돼지, 육즙 손실이 적은 돼지, 자손 번식능력이 좋은 돼지 등 소비자가 원하는 특징을 가진 ‘맞춤형 돼지’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선별하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우수한 종돈을 선별하기 위해 육질 진단용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는 발명’은 2002년에 처음 출원되기 시작하여 2013년 10월 현재 총 63건이 출원되었고, 이 중 31건이 특허 등록(전체 비중, 49.2%)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특허 출원의 내용을 살펴보면, 삼겹살 함량이 높은 돼지의 선별에 관한 출원이 28건(44.4%)으로 가장 많았고, 육즙과 식감이 좋은 돼지고기의 선별(15건, 23.8%)과 자손 번식능력이 우수한 돼지의 선별(8건, 12.7%)에 관한 출원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특히, 2012년 이후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여러 돼지고기 육질과 관련된 SNP를 분석해서 소비자 맞춤형 종돈으로 개량하는 발명의 출원이 증가 추세인데, 이는 2010년에 완료된 ‘돼지 전체 유전자 게놈서열의 해독’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발달로 돼지고기의 여러 육질과 연관된 SNP 마커의 발굴이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특허청 바이오심사과 이미정 과장은 “올 10월,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여 조기 선별된 우수 육질을 가지는 맞춤형 종돈을 상업적으로 보급하는 길이 열렸다. 이는 유전자가 조작된 돼지의 생산이 아니라 우수한 형질을 유전을 통해 안전하게 개량한 것으로, 한·미, 한·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수입육의 증가 속에서 국내 양돈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맞춤형 종돈 분양에 관련된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창조경제에 이바지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붙임 : [참고자료] 가 포함된 보도자료 1부.
문의 : 특허심사3국 바이오심사과 노은주 사무관 (042-481-8368)

[자료제공 :(www.korea.kr))]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