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회견에서 “국민 여러분께 대선 출마를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다”며 “국민의 선택을 받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출마 이유에 대해 “국익의 최전선인 통상외교마저 정쟁의 소재가 되는 현실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전 총리는 △바로개헌 △통상해결 △국민동행 등 세 가지 국정 과제를 발표했다.
그는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어 개헌 성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첫해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한 후,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공언했다.
또한, 통상 문제 해결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우리나라 첫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냈고, 경제부총리, 국무총리, 주미대사를 역임하며 수많은 통상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며 “이 일을 가장 오래 해온 사람이고 가장 잘할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동행 정책을 통해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좋은 일자리, 쾌적한 주택, 편리한 교통, 질 좋은 의료, 세심한 육아지원, 든든한 노후 보장을 위해 최고의 내각을 구성하고, 그들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새로운 정부는 ‘한덕수 정부’가 아닌 ‘여러분의 정부’”라며 “저는 이길 수 있는 경제 대통령이고, 좌우가 아니라 앞으로 나아갈 사람이며, 약속을 지킨 뒤 즉시 물러날 사람”이라고 피력했다.
또한, “대선 과정에서 경쟁하는 모든 분들을 거국 통합 내각에 모시겠다”며 “국무총리로서 못했던 일을 대통령의 힘으로 반드시 해내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조기 실시되는 만큼, 정치적 지형이 크게 변화하는 가운데 한 전 총리의 출마 선언이 향후 대선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