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방조 혐의를 받고 있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오늘(2일) 오전 10시 내란 특별검사팀에 전격 출석했다. 한 전 총리는 서울고검 청사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로 들어가기 전, 취재진의 질문 공세에 아무런 답변 없이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번 소환은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수사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핵심 인물 조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계엄 선포 이후 작성된 비상계엄 선포문에 서명했다가 이를 폐기해달라고 요청한 정황을 포착하고,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이는 계엄 선포 과정에서의 한 전 총리의 구체적인 역할과 이후의 행적, 특히 계엄 선포의 적법성 여부를 인지했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이와 관련하여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문서와 디지털 증거들을 토대로 한 전 총리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은 또한 한 전 총리가 계엄 당일 국무회의와 관련해 기존에 진술했던 내용이 대통령실 CCTV로 확인된 모습과 다른 점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추궁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 전 총리의 진술 신빙성을 확인하고, 계엄 선포 전후의 상황, 특히 국무회의에서의 논의 내용과 각 국무위원들의 역할 분담 등에 대한 진실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기 위함이다. 특검은 당시 국무회의에서 계엄 선포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졌고, 어떤 결정이 내려졌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한 전 총리가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를 밝히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내란 특검에 출석해 조사를 받고 있다. 안 장관은 국무회의 당시 상황에 대한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된 것으로 보이며, 특검은 그를 상대로 국무회의 당시의 논의 내용, 분위기, 그리고 계엄 선포에 이르는 과정에서 각 국무위원들의 역할과 인지 수준 등에 대해 폭넓게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안 장관의 진술은 한 전 총리의 진술과 교차 검증되어 사건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한덕수 전 총리와 안덕근 장관의 소환 조사는 내란 혐의 수사가 대통령실과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에게로 확대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검팀은 그간 확보한 광범위한 자료와 관련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계엄 선포의 위법성 여부,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고위 관계자들의 공모 여부를 밝히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이 2차 소환 조사를 거부하며 특검과의 대치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 전 총리 등 주요 인물 조사를 통해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고 수사에 속도를 내려는 특검의 의지가 엿보인다. 이번 조사를 통해 계엄 선포의 전 과정이 명확히 드러날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