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선동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되었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12·3 비상계엄 선포 직전과 직후에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여러 차례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이 통화 내용을 바탕으로 황 전 총리의 내란 선동 의혹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특검팀은 황 전 총리가 김 전 수석으로부터 계엄 관련 대통령실 내부 상황을 파악한 뒤 선동적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물을 작성했다고 의심하며 김 전 수석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다.
11월 18일 한겨레 취재 결과에 따르면, 특검팀은 황 전 총리가 내란 선동 혐의를 받는 페이스북 게시물을 올리기 전후 시점에 김 전 수석과 수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을 확보했다. 당시 황 전 총리는 계엄 선포 직후 페이스북에 "나라를 망가뜨린 종북 주사파 세력과 부정선거 세력을 이번에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으며, 더 나아가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 대통령 조치를 정면으로 방해한 한동훈도 체포하라"는 등의 격앙된 내용을 게시했다. 특검팀은 이 게시물 작성 시점 전후로 황 전 총리의 연락으로 시작된 통화가 여러 차례에 걸쳐 3~4분가량 진행된 정황을 포착했다.
특히 특검팀은 황 전 총리와 김 전 수석의 과거 인연에 주목하고 있다. 김 전 수석은 황 전 총리가 박근혜 정부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재직할 당시 법무부 검찰국장에 이어 차관까지 역임하는 등 황 전 총리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측근 인사로 알려져 있다. 특검팀은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황 전 총리가 김 전 수석에게서 계엄 선포의 구체적인 배경과 대통령실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를 자신의 내란 선동 행위에 활용했을 가능성을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최근 김 전 수석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직접 소환하여 조사까지 마친 상태이다.
한편, 특검팀은 황 전 총리 압수물 분석을 마무리하는 대로 그를 다시 소환하여 조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앞서 황 전 총리는 특검팀의 출석 요구에 세 차례 불응하면서 체포영장이 발부되었고, 지난 12일 체포되어 조사를 받은 뒤 내란 선동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되었다. 그러나 법원은 "구속 필요성 부족" 등을 이유로 영장을 기각한 바 있다. 법원의 구속영장 기각 결정에도 불구하고, 특검팀은 황 전 총리와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 간의 통화 내역 등 새로운 증거를 통해 내란 선동 혐의의 입증에 주력하며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 통화 기록은 황 전 총리의 선동 행위가 단순히 개인적인 의견 표출을 넘어, 계엄 사태와 관련된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조직적인 목적을 가지고 실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핵심 증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