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제21대 대통령 선거, 오후 2시 투표율 65.5% 기록… 지난 대선 대비 0.7% 상승세

백설화 선임기자 | 입력 25-06-03 14:15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진행 중인 가운데, 3일 오후 2시 기준 전국 투표율이 65.5%로 집계되며 지난 대통령 선거의 동시간대 투표율을 0.7%포인트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높은 사전투표율이 본투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을 뒷받침하며, 최종 투표율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대선은 총 유권자 4,439만 1,871명 가운데 2,900만여 명이 투표를 마쳤다. 앞서 진행된 사전투표에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34.74%의 참여율을 보인 바 있으며, 이 수치가 오후 1시부터 본투표율에 합산되면서 전체 투표율 상승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 투표율을 살펴보면, 일부 지역에서 특히 높은 투표 열기를 보이고 있다. 대구는 28.7%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경북 26.1%, 경남 24.7%, 충남 24.2%, 대전 24.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전남은 15.0%로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이는 지역별 정치적 관심도 및 유권자 구성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역대 대통령 선거의 오후 2시 투표율과 비교하면, 이번 대선의 65.5%는 지난 제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인 64.8%보다 0.7%포인트 높은 수치다. 또한, 제19대 대선의 오후 2시 투표율인 67.4%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지난 두 번의 대선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의 투표 참여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직접선거로 치러진 역대 대선 중 가장 높은 최종 투표율은 제3대 대통령 선거의 94.4%였으며, 최근 대선에서는 제19대 77.2%, 제20대 77.1%를 기록했다. 현재 추이가 유지될 경우, 이번 대선 역시 높은 최종 투표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번 대선은 주요 후보 간의 치열한 경쟁 구도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각 후보 진영은 지지층 결집을 위해 막판까지 총력전을 펼쳤으며, 이는 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도를 높이는 데 주효했다. 또한, 사전투표 제도의 정착과 접근성 향상 역시 전체 투표율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많은 유권자가 본투표일에 시간을 내기 어려운 경우에도 사전투표를 통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며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오후 늦게까지 투표가 진행되는 만큼, 최종 투표율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 종료 시점까지 유권자들이 빠짐없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투표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대선의 최종 투표율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제21대 대통령 선거, 오후 4시 투표율 71.5% 기록…지난 대선 대비 상승세 유지
속보) 제21대 대선 오전 11시 투표율 18.3%…높은 관심 속 순항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단독) 홍익대 2025 홍익패션위크 Fashion ..
최민희 'MBC 본부장 퇴장' 조치에...여당 내부..
성심당, 11월 3일 전 매장 '임시 휴무'...사..
통합자세의학회·㈜파이온텍 학술 바이오 연구 협력 ..
주말 늦가을 날씨 만끽...다음 주 '초겨울' 강력..
속보) 코스피, '꿈의 4000' 목전...장중 3..
"두 번" 대 "일곱 번"...국감장서 정면충돌한 ..
트럼프 대통령 29일 방한 확정...이재명 대통령과..
특검 '투 트랙' 수사 명암...임성근 구속, '수..
비트코인 1억 6천만 원대 횡보 속 '금 추월' 기..
 
최신 인기뉴스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로 3연속 ..
정청래 "조희대, 사법부 수장 자격 이미 상실…거취..
"코로나 진원지" 신천지 이만희, 적십자 회장 표창..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한국미디어일보 의료학술단체 ..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보도 항의"성 퇴장 조치, 한..
국내 금 "김치 프리미엄" 20% 육박 후 8%대로..
북한, 5개월의 침묵 깨고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제주 4·3 김일성 지시설" 발언 태영호 전 의..
정부, 유류세 인하 연말까지 '조건부 연장'...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