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 해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 중인 특별검사팀이 이번 주 중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현직 공수처장이 다른 수사기관의 특검팀에 의해 피의자로 특정되어 공개 소환되는 것은 초유의 일이다. 이는 특검의 수사가 "순직 해병" 사건의 진상을 넘어, 해당 사건을 초기에 다뤘던 공수처의 수사 과정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중대한 분기점이다.
법조계 소식통에 따르면, 특검팀은 공수처가 "순직 해병" 사건 관련 핵심 피의자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오동운 처장이 직권을 남용하거나 수사 기밀을 유출하는 등 부적절하게 개입한 정황을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앞서 공수처로부터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등 주요 인물들에 대한 초기 수사 기록 일체를 넘겨받아 면밀히 검토해왔다. 이 과정에서 공수처의 수사가 석연치 않게 지연되거나 특정 인물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진행된 정황을 포착하고, 그 중심에 오 처장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강제수사 결정으로 "순직 해병" 사건을 둘러싼 두 사정기관, 즉 특검과 공수처 간의 충돌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공수처는 당초 이 사건의 외압 의혹을 규명할 핵심 수사기관으로 지목되었으나, 출범 이후 늑장 수사 논란과 핵심 피의자의 출국금지 해제 과정에서의 미흡한 대처 등으로 여론의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국민적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것이 결국 별도의 특검을 출범시킨 결정적 배경이 됐다.
특검팀이 공수처의 수장을 피의자로 지목함에 따라, 특검은 오 처장을 상대로 공수처의 초기 수사 과정 전반을 강도 높게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수사 외압 의혹의 "윗선"으로 향하는 핵심 증거를 확보하고도 묵살하거나 의도적으로 수사를 지연시켰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다. 또한, 공수처 내부의 수사 정보가 대통령실이나 국방부 관계자 등에게 비공식적으로 전달되었는지, 이 과정에 오 처장이 개입했는지 여부도 집중 추궁 대상이다.
특검팀이 공수처의 수사 공정성 자체를 정면으로 겨누면서, 오 처장의 소환 조사 결과에 따라 특검의 수사 범위는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구체적인 소환 일정이나 혐의 내용에 대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한편 오동운 처장은 특검의 소환 통보 방침과 관련해 변호인을 통해 "특검의 절차에 성실히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