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한반도의 평화 공존을 아태지역 전체의 상생 번영을 위한 핵심 전제임을 역설하며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지지를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 APEC 정상회의 2차 세션을 마무리한 뒤 가진 연설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내일"**의 근간이 바로 평화임을 명확히 했다. 이는 기존의 관습적인 평화 메시지를 넘어, 경제 협력의 틀 안에서 한반도 평화의 실질적 가치를 재정립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현존하는 군사적 대립과 핵 문제가 비단 한반도뿐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반의 안정과 협력 확대에 심각한 제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평화가 뒷받침돼야 우리의 연결이 확대되고 모두가 함께 누리는 번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APEC의 목표인 '연결'과 '포용적 성장'을 평화라는 기본 토대 위에 세워야 함을 논리적으로 역설했다. 군사적 긴장이 경제 협력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해치고, 잠재적인 투자와 교역 기회를 위축시키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 것이다. 이는 한반도 평화가 아태지역의 경제 안보와 직결된다는 점을 분명히 한 대목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선제적 조치'에 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정부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해 왔다"고 과거의 노력을 평가하는 동시에, "앞으로도 평화를 위한 대승적이고 더욱 적극적인 선제적 조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향후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이처럼 '더욱 적극적인 선제적 조치'를 강조한 것은, 소극적 방어적 태도나 상대의 조건에 대한 반응을 넘어 평화 구축을 위한 한국 정부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 정세 하에서도 대화의 모멘텀을 상실하지 않고 평화 구도를 재확립하겠다는 강력한 정책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나아가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가 역내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확장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원칙 아래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열고자 한다"고 언급하며, 궁극적으로 이 한반도의 평화공존이 "아시아 전체의 상생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한국이 지역 안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한반도 문제 해결이 동북아 안보와 경제 협력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단순한 남북 관계 개선을 넘어선 지역 질서 재편의 논리를 APEC이라는 다자 외교 무대에서 피력한 것이다.
이와 함께 APEC 정상들을 향한 지지 요청은 국제적 공조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이 대통령은 "APEC 회원 여러분의 지지와 협력이 동반될 때 한반도 평화 공존의 길도 실현될 것"이라며 "평화로운 우리의 내일을 위해 계속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반도 문제 해결의 당사자 원칙을 견지하면서도, 지역 안정과 번영에 대한 공동 책임을 강조하는 APEC 틀 내에서 외교적 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계산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대통령의 이번 APEC 연설은 평화를 지속 가능한 번영의 핵심 요소로 설정하고, 한국의 능동적 평화 이니셔티브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와 연대를 구하는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