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온라인 교양 강의 시험에서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되어 해당 시험이 전면 무효 처리된 바 있는 고려대학교에서, 또다시 온라인 시험 과정 중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드러나 학교 당국이 진상 파악에 나섰다. 앞선 사건으로 학내 시험 관리의 허점이 도마 위에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아 유사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파문이 예상된다.
어제(2025년 11월 20일) 오전 10시 30분경,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개설된 한 전공 과목의 시험이 진행되었다. 이 시험은 약 80여 명의 수강생이 강의실에 모여 개인 노트북이나 모바일 기기로 응시하는 온라인 퀴즈 형태로 치러졌다.
문제는 해당 온라인 퀴즈 시스템의 운영 방식에서 비롯되었다는 분석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 퀴즈는 응시자가 답안을 제출한 직후 자신의 성적과 정답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심지어 재응시가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현장에 있던 복수의 학생들의 증언과 정황 분석 결과, 일부 학생들이 이 시스템의 허점을 악용하여 조직적인 부정행위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퀴즈를 제출하여 정답을 확인한 응시자가 이 정보를 아직 응시 중이거나 재응시를 준비하는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집단적인 답안 공유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응시자가 정답을 확인한 후 이를 다른 이들에게 전달하고, 이들이 재응시 기회를 활용하여 만점을 받는 행위는 명백한 학업 부정행위에 해당한다.
이번 부정행위 정황은 앞서 교양 과목에서 발생한 단체 카카오톡방을 통한 조직적인 답안 공유 및 짜깁기와 그 형태는 다르지만, 온라인 시험 환경의 관리 부실이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교 측의 책임론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 고려대학교는 부정행위가 적발된 교양 과목 시험의 성적을 모두 무효 처리하고 재시험을 결정했었다.
연이은 집단 부정행위 정황 포착은 온라인 시험의 공정성 확보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대학 교육 시스템이 비대면 및 온라인 환경의 장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시험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정밀한 검토와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시험 직후 정답 공개와 재응시 기회 부여를 동시에 허용하는 시스템은 부정행위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이번 사례를 통해 다시 한번 명확히 드러났다.
현재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및 관련 부서는 해당 전공 과목 퀴즈의 응시 기록 및 성적 패턴 등을 면밀히 조사하여 부정행위의 규모와 가담자를 파악하고 있는 중이다. 조사 결과에 따라 연루된 학생들에게는 징계가 내려질 것으로 보이며, 해당 퀴즈의 효력 또한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