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세종을 중심으로 한 충청권 광역교통망 확충이 속도를 내고 있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가 한국개발연구원(KDI) 민자 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며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고, 충남 내포신도시에서 세종으로 접근하는 광역도로 역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포함되면서 철도·도로 인프라가 동시에 개선될 전망이다. 두 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충청권 전체의 생활권 구조와 산업권역이 재편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CTX는 정부대전청사에서 정부세종청사, 오송역, 청주 도심을 거쳐 청주공항까지 약 64.4㎞를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약 5조1135억원 규모다. 이르면 2028년 착공해 2034년 개통이 예상되며, 차량은 수도권 GTX에 투입된 것과 같은 EMU-180급 전동차가 사용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CTX가 비수도권 광역철도 가운데 처음으로 민간투자(BTO 방식)로 추진되는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자체 부담률은 재정사업 대비 절반 수준인 약 15%로 낮아지고, 운영 손실 역시 민간이 부담하게 된다. 다만 기존 민자사업 관행을 고려하면 이용요금이 재정사업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이용자 부담 문제는 향후 논점이 될 전망이다.
교통 편익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CTX 개통 시 정부대전청사~세종청사 이동시간은 45분에서 16분, 세종청사~청주공항은 65분에서 36분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세종청사~천안역도 65분에서 28분으로 단축되면서 충청권 도시 간 이동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분석된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CTX를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 기반시설이자 충청권을 하나로 묶는 성장축”이라고 평가하며 사업 추진에 강한 의지를 밝혔다. 세종시의 행정기능과 대전·청주·충남 지역의 산업·연구·물류 기능이 긴밀하게 연결되면 충청권 전체가 하나의 경제생활권으로 형성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충남 내포신도시와 세종을 연결하는 광역도로도 함께 추진된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했고, 조사는 KDI가 맡아 진행한다. 해당 도로는 예산군 대술면 지방도 618호선과 공주시 정안면 지방도 604호선을 왕복 2차로로 연결하는 19.1㎞ 구간으로, 이 중 9.9㎞가 신설 또는 개량될 예정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대술면~정안면 구간 이동시간이 기존 55분에서 약 23분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충남도는 내포~세종 연결도로가 구축되면 세종청사와 충남 도청 신도시 간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광역행정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산·홍성·내포권 주민들의 세종 접근성 개선 역시 생활권 변화와 상업·주거 기능 확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CTX와 내포 연결도로가 동시에 추진되는 것을 충청권 교통구조 변화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철도와 도로가 함께 개편되면 충청권이 독립적인 경제·생활권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조성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민자방식에 따른 요금체계 문제, 지자체 간 정거장 배치 갈등 가능성, 예타 통과 이후 노선 확정 과정에서의 환경·주민 민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정부는 향후 CTX 실시협약 체결, 노선 확정,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거쳐 사업 추진을 가시화할 계획이다. 내포 연결도로 역시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여부에 따라 기본계획 수립과 설계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정책 변수들이 남아 있지만 충청권 교통망이 철도와 도로를 축으로 동시에 확장되는 흐름은 이미 시작됐다. 세종을 중심으로 대전·충북·충남이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움직이는 구조가 현실화할지 지역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