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게임문화재단,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실시

김미영 기자 | 입력 22-04-28 23:44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문화재단은 ‘2022년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이하 교육)을 실시한다. 2011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교육은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와 게임의 가치 확산을 위한 성인 대상 프로그램이다.

지난해에는 약 6200명이 전국 각지에서 대면 및 비대면으로 교육에 참여했다. 심리학자, 게임 개발자 등의 전문 강사진이 게임 및 게임산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MZ세대의 게임문화와 가족 소통, 게임산업에 대한 전망과 진로 등의 내용을 강의해 학부모 및 지도자, 고령층 등의 게임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올해 교육은 보호자의 개념을 확대해 운영된다. 전국 학부모, 지도자, 고령층, 대학생, 군인, 게임 공급자 등 성인 1만2000명이 대상이다. △학부모(게임 시간 선택제 활용 방안, 자녀 지도 교육법과 과몰입 예방법 등) △고령층(다양한 게임을 활용한 건강 증진법과 손자녀와의 소통 방법 등) △대학생 및 군인(게임산업 발전 현황, 직군 이해 등) △게임 공급자(산업 내 올바른 게임 인식, 게임산업 내 새로운 직업군 탐색 등)를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게임문화재단은 다양한 대상에게 교육 혜택을 제공하고자 3월부터 부처 및 전국 연계기관(기업, 대학교 및 교육기관, 민간협·단체, 군부대, 복지시설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교육 지원 대상을 상시로 신청받고 있다. 50명 이상 단체로 신청할 수 있으 모든 교육은 무료다.

참가 신청은 유선 또는 이메일로 가능하며, 6월부터는 홈페이지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아이와 함께 건강한 게임문화를 즐기고 싶은 보호자, 올바른 게임문화를 만들고 싶은 공급자 등 게임문화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의 참여를 기다린다.

한편 게임문화재단은 ‘찾아가는 게임문화교실’, ‘게임문화 가족캠프’, ‘게임과몰입힐링센터 프로그램 지원’, ‘게임시간 선택제 운영’ 등 올바른 게임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게임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 : 게임문화재단]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청소년연맹-키친스토리, 엄마의 마음으로 준비한 어린이날 100주년 선물 전달
문화체육관광부-지역문화진흥원, ‘4월 문화가 있는 날’ 진행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BTS 정국 등 유명인 명의 도용, 390억 갈취..
"치위생사, 치과·버스정류장서 여성 수백 명 불법..
"정청래, 구미 고공 농성장 찾아 해결 약속…세계 ..
단독) "김건희 여사 특검 조사, 진술 거부권 행사..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단독) 윤석열, 내란 재판 6회 연속 불출석…
속보) 김건희 특검, '드론업체 로비' 의혹…전 총..
이재명 대통령, 3박 6일 한미일 순방 마치고 귀국..
속보) 코스피 3175.33(▼11.83p, 0.3..
법원, 한덕수 전 총리 구속영장 기각…"방조 혐의 ..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부산 사상공단 공장서 LPG 폭발…2명 중상·초등..
'9월 재혼' 김병만, 이혼 심경 첫 고백…"전처에..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단독) 故 노무현 대통령 참배 "조국 눈물"
수도권 기습 폭우…밤사이 중부지방 시간당 50mm ..
속보) '주주 이익 보호' 명문화... 이사의 충실..
"동맹의 새 시험대"... 한ㆍ미, 워싱턴서 첫 정..
속보) 김건희, 4차 소환조사서도 '묵비권'…특검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