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생명보험재단, 4884명 중학생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디유 스쿨’ 실시

장기문 기자 | 입력 24-03-11 23:48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장우, 이하 생명보험재단)이 전국 74개 중학교 4884명 학생에게 청소년 디지털 문화교육 ‘디지털 유스 스쿨(이하 디유 스쿨)’의 2024년도 1학기 교육을 실시한다.

생명보험재단의 ‘디유 스쿨’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청소년, 특히 중학생들이 디지털 세상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정립하고 건강한 디지털 환경을 위해 생명존중 의식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화두로 떠오르며 AI 기술 관련 윤리 이슈도 대두되고 있다. AI가 우리 삶 전반에 빠른 속도로 보편화되고 있는 만큼 국내 여러 기업 및 기관에서도 AI 관련 교육, 윤리조직 신설, 가이드라인 마련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생명보험재단은 이에 발맞춰 2024년도 1학기부터 ‘AI’ 관련 주제가 반영된 ‘디유 스쿨 2.0’ 교보재를 바탕으로 청소년 디지털 문화교육을 실시한다. 주요 내용으로 △AI로 인한 인권 보장과 침해 △딥페이크를 통해 알아보는 프라이버시 보호 △생성형 AI로 이해하는 AI의 편향성과 다양성 존중 등 AI 기술 윤리 교육 및 AI 기반 콘텐츠 창작에 대한 내용이 추가됐다. ‘디유 스쿨’은 학기마다 총 16교시의 수업이 이뤄지며 △가짜뉴스 분별 △디지털 성범죄 등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이 가져야 할 기본 지식 및 태도, 유의해야 할 역기능 등에 대해 교육한다.

생명보험재단은 ‘디유 스쿨’을 수업을 위한 온오프라인 콘텐츠와 교보재를 제공한다. 또한 담당교사의 교과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연수용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이를 교사 직무 교육으로 인정받도록 하고 있다. 생명보험재단은 ‘디유 스쿨’ 시범 사업을 시작한 2020년 9월부터 현재까지 전국 465개 중학교, 2만4736명 청소년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도왔다.

생명보험재단 김정석 상임이사는 “디지털·비대면이 일상화되며 학교 수업에도 코딩 등 디지털 기술 교육이 정규 교과 수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디지털 리터러시 및 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느껴 2020년부터 디유 스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왔다”며 “이번 AI 커리큘럼 확대를 통해 미래 인재들이 디지털 사회 속 생명존중 문화를 확립하고,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생명보험재단은 2007년에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등 19개의 생명보험회사들이 협력해 설립된 공익법인이다. 생명보험이 지향하는 생명존중 정신을 바탕으로, 선도적인 복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건강한 사회 변화를 주도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문화를 전파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서울 : 생명보험사회보험재단]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인촌 장관 “한국예총 혁신 적극 지원하겠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3월 12일 ‘2024 봄생명사랑캠페인 마음돌봄토크’ 개최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국정농단" 특검, 윤석열·김건희 이달 내 소환 ..
20대 남성, 여중생 2명 성폭행 혐의로 구속
속보)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 이배용 전 국가교..
속보) "지방선거 국민의힘 표 흡수 목표" 조국혁신..
속보)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추진 전격 철회..
"만취 차량의 무분별한 질주, 서울 도심서 일본인 ..
권성동 의원, 통일교 불법자금 의혹 첫 재판…윤영호..
김동연 경기지사 “한미 협상은 대성공…오세훈 시장 ..
서울 포함 전국 첫 한파주의보…아침 기온 0도 안팎
 
최신 인기뉴스
김선영 YTN 앵커, 별세한 백성문 변호사 추모 <..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APEC 2025 경주 정상회의 만찬 리셉션, K-..
"정부, '핼러윈 특별대책 기간' 안전관리 총력…홍..
대학가, AI 연구 열풍 속 '전력 절벽' 직면....
비트코인, 미일 정상회담에도 ‘무반응’…시장 흔들기..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36년 전 '힐즈버러 참사'..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젠슨 황의 '통 큰 선물', 단순한 친교 넘어선 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