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이 지난해 12월 3일 밤, 국회에 추가 병력을 투입하기 위해 전방 부대 차출을 검토했던 정황이 확인됐다. 검찰은 당시 합동참모본부에서 근무했던 핵심 관계자로부터 관련 진술을 확보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계엄군 지휘부가 전방 여단 병력 동원을 시도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12.3 내란 당시 계엄상황실에 출근했던 합참 소속 관계자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으며, 해당 관계자는 당시 상황을 상세히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진술조서에 따르면 박 전 사령관은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이 시민들에 둘러싸여 본회의장 진입이 어렵다는 보고를 받은 후 참모들에게 국회에 나가 있는 특전사 병력이 밀리고 있으니 병력을 증원하자며 전방 부대 병력 차출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검찰은 박 전 사령관이 지목한 전방 병력이 경기도 고양의 1군단 예하 여단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구체적인 부대 이동 계획이 수립됐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해당 여단은 통상 5천여 명 규모로, 만약 투입이 실행됐다면 계엄령 강화를 위한 중요한 군사 작전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사령관은 포고령 외엔 사실상 아무것도 몰랐다며 내란 공범 혐의를 부인하고 있지만, 전방 부대까지 동원하려 했던 정황이 드러나면서 내란 가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사령관이 누구와 전화 통화를 한 뒤 이러한 지시를 내렸는지 추가 수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정치권은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계엄령 사태 책임 규명 여부가 좌우될 것이라며 이번 조사에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의 수사 진행 상황이 향후 정치적 논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