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표절·가로채기 의혹 전면 부인

김기원 기자 | 입력 25-07-16 15:01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수 시절 작성한 다수 논문에 제기된 표절 논란에 대해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결론"이라며 사실이 아니라고 강력히 해명했다. 또한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도 이공계 연구 관행에 비춰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자는 오늘(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에게 제기된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2007년부터 충남대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의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의 논문들을 저도 한번 카피킬러로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며,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표절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도 이 후보자는 이공계 연구 관행을 들어 반박했다. 그는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이 부당한 저자 표시, 즉 제1저자로 쓰면서 제자 논문을 가로챘다는 것"이라며,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인 논문 발표 순서"라고 강조했다. 또한,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지도 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덧붙였다.

자신이 제자와 공동 연구한 논문 중 제1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약 30% 정도이며, 나머지 70%는 제자와 공동 연구 혹은 참여 연구 형태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큰 실수가 있었다면 세세한 것, 이를테면 윤리위 기준에 속하지 않는 오탈자 등이 있었던 것"이라고 인정했다.

'본인이 주 저자라면 제자의 학위가 무효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이 후보자는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논문)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며 "그래서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답했다.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이진숙 후보자는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학계의 특수성과 관행을 들어 적극적으로 해명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명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고 장관으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입증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채 상병 특검' 박정훈 대령, 참고인 출석…"VIP 격노 사실로 증명, 사필귀정 확신"
속보) 서울중앙지법,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적부심사 18일 오전 진행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정청래, 61.74% 압승…이재명 정부 첫 ..
속보)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에 황명선 의원 당선
인천 강화도 남편 신체 훼손 사건, 50대 아내와 ..
전국 90% "민생회복 소비쿠폰" 수령 완료, 부정..
속보) 손흥민, 토트넘과 10년 동행 마침표…"팀 ..
주말 ‘가마솥더위’ 절정…밤부터 전국 ‘물폭탄’ 대..
속보)‘집사 게이트’ 자금 통로 의혹…오아시스PE ..
속보)‘집사 게이트’ IMS모빌리티 대표 특검 출석..
이재명 대통령 17개 시도지사 첫 만남…“균형발전..
정성호 법무장관 “尹, 특검 오자 옷 벗고 저항…나..
 
최신 인기뉴스
U-19 남자배구, 미국에 뼈아픈 역전패…16강서 ..
속보) 尹 ‘완강 거부’에 체포영장 집행 무산…특검..
"대통령까지 제동"… 최동석 처장,
여권 내..
속보) 외국인·기관 매도 공세에 코스피 1.5% ..
법원, 여고생 성폭행 미수범 영장 기각…"주소 일정..
속보) 윤석열, ‘김건희 특검’ 2차 소환도 불응…..
속보) 러시아 캄차카반도 8.0 강진…일본·러시아..
단독)“폭염 속 고생 많으시죠”…민생지원금으로 소방..
서울, 7월 열대야 22일 '역대 최다'…밤낮 가리..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 거래 의혹' 명태균 내..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