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영국 최초의 정치 리더들 간 온라인 생방 토론회 성사되나

최영기자 | 입력 14-05-19 21:58

 
 

후와이어드 보도에 따르면 영국의 유력 매체들인 가디언(Guardian)과 텔레그라프(The Telegraph)가 세계 최대 영상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와 손 잡고 영국의 정치 리더들의 온라인 토론회를 추진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BBC, 가디언 등 영국 주요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유튜브, 가디언, 텔레그라프 3사는 합동으로 2015년 영국 주요당 당수들 간 온라인 토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계획을 각 당에 제안했다.

3사는 지난 몇 달간 이 온라인 토론회 프로젝트를 준비해 왔으며 정치인들과의 논의 후 15일(현지시간)  각 당에 이를 제안했다.

만약 각 당에서 제안을 수락하면 온라인 토론회는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에 생중계된다. 또한 유튜브는 영상 공유를 통해 모든 온라인 매체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이 중계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전통 TV 및 라디오 매체들에서도  중계가 가능하도록 토론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게다가 온라인 토론이 생방송으로 중계되면서 유권자들은 트윗, 라이크, 공유, 질문 등 SNS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통해 토론에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영국에서 정치 당수간 토론은 TV나 라디오 등 전통 미디어에서만 생방송되었다. 하지만 유력 정치인 간 토론회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생방송으로 중계가 시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디언은 3사가 이번 정치 토론 온라인 생방송 시도가 인터넷 환경이 발전하고 전통 미디어와 웹 간은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지고  40대 이하 젊은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주요 인터넷 소스 공급원은 더 이상 TV나 라디오가 아닌 인터넷이란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3사는 온라인 토론회가 개최되면 사회자는 여성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토론의 진행방식이나 포맷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덧붙였다.

알런 루스브리거(Alan Rusbridger) 가디언 편집장은 "디지털 세상은 점점 더 중요한 민주주의를 위한 수단이자 토론의 장으로 진화하고 있다. 정치인들은 이런 변화를 잘 이해하고 이를 통한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슨 세이켄(Jason Seiken) 텔레그라프 편집장 또한 인터넷의 장점 중 하나는 TV 토론을 시청자와 정치인 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플랫폼에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지금까지 정치에 무관심했던 수백만 유권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중국정부가 '금지'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사용하는 이유
구글, 당일배송서비스 확대…아마존 겨냥
글로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채상병 특검, '외압 핵심' 유재은 4차 소..
서울 구로구 고등학교 분리수거장서 수류탄 발견…군경..
"비어있는 운전석"…휴게소 주유 차량이 덮친 고속도..
'사망자 금목걸이 절도' 30대 검시관 "죄송하다"..
'노란봉투법', 野 퇴장 속 본회의 통과
순천 레미콘 공장 질식사고, 결국 전원 사망…공장장..
주말 찜통더위 절정…전국 폭염 속 요란한 소나기
속보) 서울고검, '김건희 허위경력 의혹' 재수사 ..
北, 신형 지대공미사일 2종 시험발사…한미일 순방 ..
美정부, 인텔 최대주주로…'트럼프식 압박'에 K반도..
 
최신 인기뉴스
속보) 국민의힘, 당 대표 결선투표 확정…
김..
EBS 이사 확대 및 추천 주체 다양화 개정안, 국..
싸이 흠뻑쇼 공연장 무단 관람 경찰관, 자체 감찰 ..
속보) 위성락 주미대사, 한미 비핵화 논의에 3단계..
김건희, '통일교 청탁 의혹' 특검 조사 진술 거부..
속보) "특검, 불출석 김건희 여사에 재소환 통보…..
'R&D 예산 35조'…과학계 '잃어버린 3년' 딛..
박지원, "국민의힘 100% 분당"…김건희 행보 정..
"원조 국민 엄마" 박미선, 유방암 투병 사실 알려..
속보) "김건희 특검, 양평군청 정조준…고속도로 종..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