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한국씨티은행, 2020년 당기순이익 1878억원 시현

편집부 | 입력 21-03-30 22:21

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이 2020년 1조2271억원의 총수익과 187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발표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32.8% 감소한 것으로 2019년의 총수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조3377억원과 2794억원이다. 2020년 12월 말 BIS 자기자본비율 및 보통주자본비율은 20.06%와 19.19%를 각각 기록했으며, 전년동기 대비 0.50%p와 0.43%p 상승했다.

2020년 총수익은 변동성 확대에 따른 외환 및 파생상품 트레이딩 수익 증가와 개인 자산관리 부문의 견조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로 인한 순이자 마진 감소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8.3% 감소한 1조2271억원을 시현했다. 본점 건물 매각 관련 일회성 요인 제외 시 총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2.9% 감소했다.

2020년 비용은 디지털 인프라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7931억원이었다.

2020년 대손충당금은 코로나19 관련 선제적인 추가 충당금 적립에도 불구하고 여신 건전성의 전반적인 개선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0.9% 감소하며 1765억원을 시현했다.

2020년 12월 말 고객 대출자산은 개인신용대출 증가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5.9% 증가한 24.7조원이었으며, 2020년 12월 말 예수금은 풍부한 시장 유동성에 따른 요구불예금 유치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3.4% 증가한 27.3조원이다.

2020년 총자산이익률과 총자본이익률은 0.35% 및 2.99%를 각각 기록했다.

유명순 은행장은 “우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도 비즈니스 전반에서 많은 성과를 거뒀다. 기업금융그룹에서는 전체적인 고객 수익 및 거래 규모가 증가했고, 특히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같은 미래성장 분야에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를 집중하고 있다”며 “또한 중소기업 고객들의 해외 진출 전략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고객 만족도가 크게 개선됐다. 소비자금융그룹은 자산관리부문에서 창립 이래 최대의 성장을 기록했고, 신용카드 부문은 브랜드 카드 출시를 통해 고객기반 확장을 위한 견고한 발판을 마련했다. 고객을 위한 최고의 은행 실현을 위해 2021년에는 차별화와 디지털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 강화 및 활력 있는 조직문화 형성에 초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 시티은행]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자, 비자 다이렉트 페이아웃 통해 카드를 넘어선 전 세계 자금 이동 역량 확대
신한카드, ESG 채권 누적발행 1조2000억원 돌파
금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국정농단" 특검, 윤석열·김건희 이달 내 소환 ..
20대 남성, 여중생 2명 성폭행 혐의로 구속
속보)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 이배용 전 국가교..
속보) "지방선거 국민의힘 표 흡수 목표" 조국혁신..
속보)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추진 전격 철회..
"만취 차량의 무분별한 질주, 서울 도심서 일본인 ..
권성동 의원, 통일교 불법자금 의혹 첫 재판…윤영호..
김동연 경기지사 “한미 협상은 대성공…오세훈 시장 ..
서울 포함 전국 첫 한파주의보…아침 기온 0도 안팎
 
최신 인기뉴스
김선영 YTN 앵커, 별세한 백성문 변호사 추모 <..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APEC 2025 경주 정상회의 만찬 리셉션, K-..
"정부, '핼러윈 특별대책 기간' 안전관리 총력…홍..
대학가, AI 연구 열풍 속 '전력 절벽' 직면....
비트코인, 미일 정상회담에도 ‘무반응’…시장 흔들기..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36년 전 '힐즈버러 참사'..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젠슨 황의 '통 큰 선물', 단순한 친교 넘어선 미..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