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삼성물산, VR 활용한 장비안전 교육 프로그램 도입

최진수 기자 | 입력 21-05-27 23:10

삼성물산 건설부문(대표이사 오세철)은 VR(가상현실)을 활용한 장비안전 가상훈련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해 현장 안전문화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이 도입한 장비안전 가상훈련 프로그램 ‘스마티(SMAR'T)’는 Samsung C&T Smart Training의 줄임말이다. 기존의 전문 강사 중심의 이론교육에서 벗어나 장비 운전원, 유도자, 신호수들이 가상훈련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장비 사고의 위험을 직접 찾아내는 방식으로 체험하고, 교육 영상 반복 학습을 통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해 실제 작업 시 긴장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스마티에는 실제 현장에서 벌어질 수 있는 다양한 장비 사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특히 양중, 하역, 고소 작업, 타설 등 공종과 장비의 종류에 따라 사고 시나리오를 구성해 실제 사고가 발생했던 작업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한 기존 사고기록, 현장별 장비 현황 및 교육 결과 데이터를 수치화하고 이를 분석하고 현장별 특성과 공정에 따라 고위험 작업을 별도로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도 구축했다. 교육대상은 현장 장비 운전원, 유도자, 신호수 등 근로자뿐만 아니라 관리·감독자들도 포함된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장비 교육이 대단위 집합 교육 형태에서 개인별 훈련 형태로 변화했고, 무선 VR 기기를 활용하기 때문에 거리두기가 가능해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삼성물산은 1분기 국내 현장을 대상으로 100여 차례 교육했다. 특히 동일한 현장을 대상으로 추적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교육생 평균 약 60점을 기록했으나 2달 후 진행한 두 번째 평가에서는 평균 90점대를 기록해 교육 효과를 체감할 수 있었다.

스마티 교육에 참여한 용두6재개발 현장 장비 유도자는 “강의식으로 듣던 내용을 가상현실로 직접 체험하니 훨씬 도움이 된다. 몰랐던 부분도 많이 알게 됐고 내 생각까지 달라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스마티가 편리하면서도 이용하기 쉬워 정밀한 장비안전 가상훈련 교육 프로그램이라며, 장비 운전원·유도자·신호수분들과 관리자들의 안전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이번 달부터 본격적으로 국내·외 현장에 스마티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으며, 연내 30여 개 현장에 적용하는 것을 계획 중이다.

[서울 : 삼성물산]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아, 전기차 픽업 충전 시범 서비스 론칭
SKT 주도 SKB컨소시엄, 7개 기관 9개 구간에 양자암호통신 시범 구축
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오타니 쇼헤이, 월드시리즈 MVP 야마모토 극찬 "..
"국정농단" 특검, 윤석열·김건희 이달 내 소환 ..
20대 남성, 여중생 2명 성폭행 혐의로 구속
속보)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 이배용 전 국가교..
속보) "지방선거 국민의힘 표 흡수 목표" 조국혁신..
속보) 더불어민주당, "재판중지법" 추진 전격 철회..
"만취 차량의 무분별한 질주, 서울 도심서 일본인 ..
권성동 의원, 통일교 불법자금 의혹 첫 재판…윤영호..
김동연 경기지사 “한미 협상은 대성공…오세훈 시장 ..
서울 포함 전국 첫 한파주의보…아침 기온 0도 안팎
 
최신 인기뉴스
김선영 YTN 앵커, 별세한 백성문 변호사 추모 <..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APEC 2025 경주 정상회의 만찬 리셉션, K-..
대학가, AI 연구 열풍 속 '전력 절벽' 직면....
비트코인, 미일 정상회담에도 ‘무반응’…시장 흔들기..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36년 전 '힐즈버러 참사'..
"정부, '핼러윈 특별대책 기간' 안전관리 총력…홍..
젠슨 황의 '통 큰 선물', 단순한 친교 넘어선 미..
LG 트윈스, 2년 만에 통합 우승 달성…한화는 2..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