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이현세 만화 작가, 44년 만화 작법 인공지능에 전수한다

장기문 기자 | 입력 22-10-27 23:32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웹툰 프로덕션 재담미디어(대표 황남용)가 26일 한국 대표 이현세(67세) 만화 작가와 ‘만화&웹툰 제작을 위한 AI (인공지능) 공동 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재담미디어는 이현세 작가가 44년간 창작한 만화 및 웹툰 작품 4174권 분량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으로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지능형 만화&웹툰 창작을 위한 저작 도구 개발 및 제작 공정 수립 연구’를 추진한다.

재담미디어와 이현세 작가는 이번 협약에 따라 기술 개발을 위한 전담 조직과 인력을 구성하고, 작가 명의 작품에 대한 데이터 획득, 정제, 라벨링 과정을 거쳐 학습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를 인공지능 디퓨전 모델에 적용해 창작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신규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계획이다.

이현세 작가는 “작품에 따라 작풍을 바꾸기도 했지만, 10년쯤 주기로 그림 스타일이 크게 바뀐 것 같다. 어떤 소재의 경우는 과거 스타일로 그려보고 싶기도 하고, 어떤 작품의 경우는 요즘 스타일로 그려보고 싶기도 하다”며 인공지능 기반 창작 활동에 기대감을 표했다.

이어 “종이 만화 시절에는 배경 효과를 오려 붙이는 스크린톤이 나왔고, 디지털 만화 시절에는 각종 3D 도구들이 등장했다. 그때마다 작가들이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있었지만, 다 극복했다”며 “AI도 결국 작가를 위한 창작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담미디어는 ‘이현세 AI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대학에서 디지털 만화 제작 프로세스 연구를 지속해온 박석환 한국영상대학교 교수를 기업 부설 연구소장으로 영입하고, 관련 개발자와 제작 PD 등으로 전담팀을 구축했다.

박석환 소장은 “이현세 선생님이 인공지능을 가르치고, 인공지능이 선생님의 후속 창작 활동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며 “대학 및 공공 기관, 민간 연구소 등과 연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한국 극화풍 만화의 스타일 아카이브를 구축해 한국 만화의 DNA를 보존하는 등 영구 활용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 재담미디어]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잡지협회, 근현대잡지 특별전 개최
예스24 그래제본소, ‘스킵과 로퍼’ 1·2권 종이책 출간 위한 펀딩 단독 진행
출판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이진숙 방통위원장,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의혹..
속보)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총 56억177..
속보) 위성락 안보실장, 7월 6~8일 미국 워싱턴..
속보) SKT, 해킹 사태 통신사 변경 위약금 면제..
속보) "윤 전 대통령, 체포방해 조사 마치고 오후..
메가박스-롯데시네마 합병, 한국 영화산업 30년 지..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추경안, 국무회의 최종 의결..
속보) 12.3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속보)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
전·현직 기자 20여 명, 선행매매 혐의로 금융 ..
 
최신 인기뉴스
이재명 대통령 "세종 제2집무실 오랜 약속"
속보)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민생 ..
채상병 특검, '채상병 사망 사건' 핵심 인물 이종..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인사청문회, 10일부터 본격..
속보) "기업가치 제고 기대감" 상법 개정·관세 ..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 김건희 여사 출국금지 조치..
속보) 임은정 검사 "검찰, 변화 없으면 해체에 가..
3대 특검, 일제히 '본격 수사' 돌입…내란·김건..
속보) 故 이선균 협박 유흥업소 실장, 보석으로 석..
속보) 이재명 정부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달 2..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