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전 국무총리(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가 대법원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대한 파기환송 판결과 관련해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국가 체제가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고 진단하며, 조희대 대법원장 탄핵을 주장한 민주당의 대응을 비판했다. 또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국민의힘의 무책임한 태도를 강하게 성토하며 "미쳤다"는 격한 표현을 써 눈길을 끌었다.
이 전 총리는 6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한덕수 전 총리와 오찬 회동을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출마 의사에는 변함이 없다"며 독자 행보를 이어갈 뜻을 재확인했다. 그는 "오늘 회동은 개헌과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공동 대응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은 윤 전 대통령의 시대착오적 망상이 빚은 파국적 사태였다”며 “대통령 파면과 사법적 심판으로 귀결된 것은 당연함에도, 국민의힘은 반성은커녕 오만과 안일에 빠져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민주당 내부의 사법부 비판 움직임에 대해서도 "유죄 판결을 내린 대법원장을 탄핵하려는 시도는 대한민국을 괴물 국가로 만들 수 있는 위험한 행보"라며 "이는 삼권분립을 파괴하고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중대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법원 판결에 불복해 헌법재판소로 가져가려는 4심제 도입, 대법관 정원 확대 시도는 베네수엘라, 헝가리식 독재와 다르지 않다”고도 경고했다.

이 전 총리는 한덕수 전 총리와의 회동에 대해 “양측 모두 현재 국가 위기에 대한 책임감을 공유했다”며 “향후 개헌을 추진하고, 이를 위한 개헌연대를 가동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그는 3년 과도정부 구성과 ‘7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 구상을 다시 강조하며 정국의 주도권을 노리는 행보를 이어갔다.
한편, 그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대해서는 날을 세웠다. “서울대 동기지만 김 후보의 변심에 실망했다”며 “지금의 행보는 상종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직격했다. 또한 “단일화를 거론하던 사람이 후보가 되자마자 말을 바꿨다”며 “그런 분위기를 용인하는 국민의힘은 미쳤다고밖에 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끝으로 이 전 총리는 “이번 선거는 유권자의 자유로운 선택이 보장돼야 한다”며 “국가의 정체성과 헌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