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의 단일화 논의가 또다시 무산됐다. 두 사람은 8일 비공개 회동을 가졌지만, 핵심 쟁점에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결렬됐다.
이날 오후 서울 모처에서 진행된 회동에서 한 전 총리와 김 전 지사는 단일화 방식과 후보 선출 기준을 놓고 논의했으나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특히 여론조사 반영 비율과 단일화 시기를 둘러싼 이견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총리는 "국민 여론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여론조사 100% 방식을 주장했지만, 김 전 지사는 "보수 진영 핵심 지지층의 의견이 더 중요하다"며 대의원 투표 반영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 직후 양측 관계자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공식적인 입장 발표를 미뤘다. 다만 단일화 논의 자체가 중단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진행된 1차 회동에서도 단일화 원칙에는 공감했지만, 세부 조율에 실패하며 결렬된 바 있다. 이후 한 차례 더 협상을 시도했지만, 이번에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며 불발된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단일화 무산이 장기화할 경우, 각각 독자 출마 수순을 밟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특히 보수 진영 내부에서는 "단일화 실패 시 중도층 이탈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 양측 모두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며 추가 협상 가능성을 열어둬 향후 3차 회동이 성사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