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

\
에진정되는 듯했던 가계대출 증가세가 8월 들어 다시 고삐가 풀리면서, 불과 일주일 만에 2조 원 가까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투자 수요와 '막차' 부동산 대출 실행이 맞물리면서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 8천84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말(758조 9천734억 원)과 비교해 영업일 5일 만에 1조 9천111억 원이 불어난 수치다.
하루 평균 약 2천730억 원씩 빚이 늘어난 셈으로, 정부가 지난 6월 27일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발표한 뒤 증가세가 눈에 띄게 꺾였던 7월의 하루 평균 증가액(약 1천300억 원)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압도적인 증가 속도다.
금융권에서는 이러한 급증세의 배경으로 두 가지 요인을 지목하고 있다. 우선 8월 초에 몰린 대어급 공모주 청약 등 주식 투자에 필요한 자금 수요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새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시행 이전에 미리 계약을 마친 잔금 대출이 8월 초에 집중적으로 실행된 점도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를 키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 예고에도 불구하고 다시 가파른 증가세로 돌아선 가계대출 추이가 금융 당국의 깊은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자칫 부동산과 자산 시장의 불안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당국의 추가 대책 마련 여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