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손흥민, LAFC 데뷔골 환상 프리킥…토트넘 팬들 "왜 케인이 10년간 찼나"

이지원 기자 | 입력 25-08-25 23:59



미국 무대에 진출한 손흥민(LAFC)이 환상적인 프리킥으로 LAFC 데뷔골을 터뜨리자, 그의 친정팀인 토트넘 홋스퍼 팬들 사이에서 때아닌 논쟁이 불붙었다. 손흥민의 녹슬지 않은 프리킥 실력을 확인한 팬들이 지난 10년간 팀의 프리킥을 전담했던 해리 케인(바이에른 뮌헨)을 향한 원망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손흥민은 지난 24일(한국 시각) 열린 FC댈러스와의 2025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원정 경기에서 전반 6분, 페널티아크 정면에서 얻은 프리킥을 그림 같은 오른발 감아차기로 연결해 상대 골문 구석을 꿰뚫었다. LAFC 이적 후 3경기 만에 터진 기념비적인 데뷔골이었다. MLS 사무국은 공식 SNS를 통해 "세계가 깜짝 놀랐다"고 전했으며, 팀 동료 은코시 타파리는 "마법 같았다. 그의 첫 세 경기는 루브르 박물관에 걸 만하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새로운 무대에서 터진 레전드의 득점 소식에 토트넘 팬들도 찬사를 보냈지만, 축하의 이면에는 깊은 아쉬움이 자리했다. 손흥민이 토트넘에서 10년 넘게 활약하며 173골을 넣는 동안 기록한 프리킥 득점은 2021년 왓포드전에서의 단 한 골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토트넘 팬들은 손흥민이 아닌 다른 선수들이 프리킥을 처리했던 과거를 소환했다. 특히 팀의 주포이자 역대 최다 득점자였던 해리 케인이 10년 가까이 프리킥을 전담했지만, 그 역시 토트넘에서 기록한 프리킥 골은 단 한 개뿐이다. 팬들은 "손흥민이 명백히 최고의 프리킥 키커였음에도 우리는 케인이 10년간 프리킥을 독차지하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이러한 아쉬움은 케인이 뮌헨으로 떠난 지난 시즌에도 이어졌다. 팬들은 "케인이 떠난 뒤에도 손흥민이 아닌 제임스 매디슨과 페드로 포로가 프리킥을 두고 다투는 모습을 봐야 했다"면서 손흥민에게 충분한 기회가 주어지지 않은 구단의 선택에 의문을 제기했다.

결국 손흥민이 팀을 옮기자마자 자신의 가치를 프리킥으로 증명해 보이자, 토트넘 팬들의 오랜 아쉬움이 터져 나온 것이다. 한 선수의 성공적인 데뷔골이 친정팀 팬들에게는 축하와 함께 '만약 그때 손흥민이 계속 찼더라면'이라는 깊은 탄식을 남기고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 축구, 한국에 또다시 좌절…유소년 시스템 격차 실감"
'50m 폭풍 드리블' 어시스트 한 방에…뮌헨, 김민재 매각 철회 선언
스포츠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BTS 정국 등 유명인 명의 도용, 390억 갈취..
"치위생사, 치과·버스정류장서 여성 수백 명 불법..
"정청래, 구미 고공 농성장 찾아 해결 약속…세계 ..
단독) "김건희 여사 특검 조사, 진술 거부권 행사..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단독) 윤석열, 내란 재판 6회 연속 불출석…
속보) 김건희 특검, '드론업체 로비' 의혹…전 총..
이재명 대통령, 3박 6일 한미일 순방 마치고 귀국..
속보) 코스피 3175.33(▼11.83p, 0.3..
법원, 한덕수 전 총리 구속영장 기각…"방조 혐의 ..
 
최신 인기뉴스
단독)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대전시당"..
이커머스 전문 기업 "셀업 유니온" 가성비 좋은 자..
'9월 재혼' 김병만, 이혼 심경 첫 고백…"전처에..
부산 사상공단 공장서 LPG 폭발…2명 중상·초등..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속보) 정부, '2025년 세법개정안' 확정…내달 ..
속보) '황제 수감' 의혹...법사위, 9월 1일 ..
양육비 '월 20만원 미만' 받으면 국가가 선지급…..
속보) 한은 총재 "이론적으로 기준금리 1%p 인하..
속보) 김건희 특검, '통일교 자금' 의혹 권성동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