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중국 축구, 한국에 또다시 좌절…유소년 시스템 격차 실감"

정기용 기자 | 입력 25-08-28 16:17



중국 18세 이하(U-18) 축구 국가대표팀이 대한민국 대표로 나선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에 패배하며, 한국 축구와의 격차를 다시 한번 절감했다. 중국 매체 '소후닷컴'은 27일(한국시간) 이 경기를 보도하며 "중국 축구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 이는 단순히 경기 결과의 패배를 넘어, 유소년 시스템과 선수 육성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를 인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데얀 주르예비치 감독이 이끄는 중국 U-18 축구 국가대표팀은 제33회 한중일 스포츠교류대회에서 한국의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대건고)과 맞붙어 1-2로 패배했다. 인천 U-18 팀은 전반 15분 선제골을 터뜨렸고, 후반 추가시간에 쐐기골을 넣으며 승기를 굳혔다. 중국은 뒤늦게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치며 결국 패배의 쓴잔을 마셨다. 이로써 인천 U-18 팀은 대회 3전 전승을 기록하며 챔피언에 등극했고, 중국은 2승 1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다.

중국 언론은 이번 패배를 단순히 경기의 일부분으로 보지 않고, 한국과 중국 축구 실력의 근본적인 차이점으로 진단했다. 특히 유소년 축구 시스템의 차이가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소후닷컴은 "한국 유소년 축구 훈련 시스템의 성숙함과 강점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K리그의 예비 전력인 인천 유나이티드 U-18 팀은 탁월한 전술 실행력과 경기 템포 조절 능력을 선보였다"고 높이 평가했다. 반면, 중국 U-18 대표팀은 투지는 있었으나 전반적인 조율 능력과 전술적 숙련도 면에서 부족함을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이번 패배는 중국 청소년 국가대표팀에게 큰 교훈을 남겼다. 중국은 앞선 경기에서 바오터우FC를 7-0으로, 일본의 시미즈 S-펄스 U-18 팀을 3-0으로 완파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한국의 프로팀을 상대로는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이는 중국 축구의 유소년 발전이 여전히 초보 단계에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중국 언론은 한국의 유소년 축구 시스템을 '엄격한 접근 방식'으로 묘사하며, 중국이 본받아야 할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프로 클럽들은 잘 발달된 유소년 팀 구조를 통해 젊은 선수들을 체계적으로 훈련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체계적인 이점이 중요한 순간에 빛을 발한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훈련뿐만 아니라 전술적, 신체적, 그리고 경쟁 심리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훈련의 결과라는 것이다.

소후닷컴은 마지막으로 중국 축구가 지속 가능한 유소년 훈련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본적인 기술 훈련부터 시작해 체계적인 선수 육성 시스템을 마련해야만 일본과 한국 같은 아시아 축구 강국과의 격차를 진정으로 좁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기는 중국 축구가 미래를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분명한 과제를 던져주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SG 떠날까, 이강인 거취에 관심 집중…노팅엄 등 복수 구단 영입 경쟁
손흥민, LAFC 데뷔골 환상 프리킥…토트넘 팬들 "왜 케인이 10년간 찼나"
스포츠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북한, 5개월의 침묵 깨고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속보) 코스피, 0.09% 오른 3827.23 출발..
군검찰, '항명 수사' 중 대통령실에 "외압 없었다..
특검, '임성근-이종호 회동 의혹' 수사...배우 ..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종묘 이어 경회루까지...김건희, 국보 사적활용 의..
특검, 김건희 모친 자택 재압수수색 중 물품 증발‥..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10월 무역수지 '빨간불'...20일간 30억 달러..
서울 아침 기온 '올가을 최저'...일교차 10도 ..
 
최신 인기뉴스
광복 80주년 기념 ‘홍익인간 효·인성 강연회 및..
이재명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천명..."예상..
속보) 이재명 대통령 "권력 아닌 국민의 경찰 돼야..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국감 중반전, '사법개혁'·'부동산' 전선 격화...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속보) 전국 '초겨울급' 기습 한파...강원 산지 ..
선정성 논란 '메이드 카페', 청소년 무방비 노출 ..
캄보디아 송환 64명, '피해자'와 '공범'의 갈림..
캄보디아 '실종' 한국인 연 3천 명...스캠 연루..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