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 해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 중인 특별검사팀이 10일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특검팀이 국방부 최고위급 인사를 직접 소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수사 외압 의혹의 '윗선'을 향한 수사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 전 차관은 이날 오전 10시경 서울 서초구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그는 '혐의를 인정하는지', '대통령실과 연락했는지'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은 채 곧장 조사실로 향했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을 상대로 지난해 7월 말부터 8월 초 사이,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가 뒤집히고 경찰에서 회수되는 과정 전반에 걸쳐 부당한 지시를 내리거나 압력을 행사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을 이번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 중 한 명으로 보고 있다. 그는 2023년 7월 31일, 임성근 당시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적시한 해병대 수사단의 보고를 받고 격노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뜻이 국방부와 해병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히 그는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이첩 보류' 지시 이후, 김계환 당시 해병대사령관에게 "혐의자와 혐의 사실을 빼라", "해병대는 왜 말을 안 듣냐"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며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이 전 장관이 해외 출장으로 자리를 비웠던 2023년 8월 2일, 국방부 검찰단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사건 기록을 회수할 당시 장관 직무대행으로서 이를 지휘하고 승인한 최종 책임자이기도 하다.
특검팀은 최근 확보한 통화 내역 등을 통해 신 전 차관이 사건 기록 회수 전후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및 국방부 법무관리관실 등과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신 전 차관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당시 국방부의 의사결정 과정과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 등을 확인한 뒤, 이르면 다음 주 중 이종섭 전 장관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