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요구한 이른바 '초심야'(0시~5시) 배송 제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한동훈 국민의힘 전 당대표가 청원 동참을 공개적으로 호소하며 이 이슈가 정치권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는 양상이다. 이는 택배 노동자의 노동권 보호와 맞벌이 가구 등 이용자 편의라는 두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새벽배송 틀막' 논란의 전선이 국회로까지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한동훈 전 대표는 지난 25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과 지지자 소통 커뮤니티 '한컷'에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의 국회 전자청원 사이트 주소를 직접 공유하며 동참을 요청했다. 한 전 대표가 글을 게재할 당시 약 1만 8,400여 명 수준이던 청원 동의 인수는 26일 0시 기준으로 2만 400명을 넘어섰다. 청원인이 자신을 맞벌이 주부라고 소개하며 지난 13일에 게재한 이 청원은, 사이트에 공개된 후 30일 이내에 5만 명의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 안건으로 정식 회부된다.
청원인은 "0시부터 5시까지 배송을 막는 것은 새벽배송을 금지하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라며 민주노총의 요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의 현실을 예로 들며, 늦은 밤 아이들의 준비물을 급히 마련하거나 바쁜 일정 속에서 장을 보는 일 등에서 새벽배송이 국민 일상에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고 호소했다. 특히 새벽배송 금지 조치가 육아와 일상생활을 더욱 힘들게 하여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국회와 국토교통부가 민주노총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필요한 더 나은 방법을 찾아달라고 촉구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지난달 말 민주노총발 새벽배송 제한 논란이 처음 제기되었을 때부터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왔다. 그는 지난 3일 CBS 라디오 토론에서 0시~5시 배송 제한 찬성 측 인사와 맞수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한 전 대표는 장애인, 노인, 맞벌이 부부 등 2,000만 명에 달하는 이용자의 절실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벽배송을 하는 택배 기사들은 강요가 아닌 선택으로 일하며 돈을 더 벌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택배 기사의 새벽배송만 제한할 경우 오히려 물류센터 일용직 등 취약 노동자들의 부담이 늘어나는 모순이 발생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한 전 대표는 비노조 택배기사 연합 대표를 직접 만나 "새벽배송이 주간 배송보다 특별히 더 위험하거나 과로하는 것이 아니"라는 현장 종사자의 의견을 청취했다고 전하며, 민주노총의 요구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처럼 국민적 편의와 노동권 보호라는 상충되는 가치를 두고 정치권 인사까지 공개적으로 개입하면서,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통해 새벽배송 논란은 더욱 뜨거운 사회적 논쟁거리로 부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