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롯데카드, 297만 명 개인정보 유출 공식 확인…금융당국, 특별 검사 착수

김장수 기자 | 입력 25-09-18 13:48



롯데카드가 외부 해킹 공격으로 인해 297만 명에 달하는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공식 확인하고 사과했다. 카드 결제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밀번호나 CVC와 같은 민감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대규모 정보 유출 사태에 따른 고객 불안과 2차 피해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즉각 현장 검사에 돌입하며 사태 파악과 후속 조치에 나섰다.

롯데카드는 18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외부 해킹으로 인해 일부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확인했다"며 "고객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번 공격은 지난달 말부터 이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롯데카드는 이상 징후를 감지한 뒤 내부 조사와 외부 전문기관의 포렌식 분석을 통해 유출 사실과 규모를 최종 확인했다.

이번에 유출된 정보는 고객의 이름, 주소, 연락처, 이메일, 성별, 생년월일 등 개인 식별 정보가 주를 이룬다. 롯데카드 측은 카드번호 일부와 유효기간 정보도 포함됐으나, 카드 비밀번호와 카드 뒷면의 CVC 번호, 계좌 정보 등 금융 거래에 직결되는 핵심 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되어 유출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번 정보 유출로 인한 카드 부정사용이나 직접적인 금전 피해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하지만 유출된 개인정보가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금융사기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고객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출된 정보를 다른 정보와 결합해 범죄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당분간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즉시 롯데카드 본사에 검사 인력을 급파해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당국은 해킹 경로와 수법, 롯데카드의 보안 시스템 관리 실태 전반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특히 정보 유출을 인지하고도 신고와 고객 고지가 늦어졌는지 여부 등을 살펴보고,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 법규 위반 사실이 확인될 경우 엄중한 제재를 가할 계획이다.

롯데카드는 현재 피해 고객에게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유출 사실을 알리고 있으며, 홈페이지와 전용 콜센터를 통해 정보 유출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이상 금융거래 탐지 시스템(FDS)을 최고 등급으로 상향하고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강화해 2차 피해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특검, '정치로비 정점' 한학자 총재 영장 청구
… "증거인멸 우려"
속보) 박삼구 전 금호회장 2심서 극적 감형, "횡령·배임 무죄"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조갑제 “국힘, 내년 지선 민주당 대승 후 소멸 가..
“한의사 가르치지마” 의협 공문… 의료기기 갈등 연..
주담대 금리 한 달 만에 상승세, 3%대 장기화
주식·금값 상승에도… 서민은 소외된 ‘K자 양극화..
조국 “한덕수 15년이면… 윤 무기징역, 김용현 3..
검찰, '패스트트랙 충돌' 민주당 박범계 벌금 40..
전국 영하권 강추위...주말 일시적 추위 주춤 후 ..
검찰, '패스트트랙 충돌' 국민의힘 전·현직 의원..
속보) 코스피, 뉴욕 증시 부진에 3970선 약세 ..
"계엄 해제 표결 방해 혐의" 국민의힘 추경호 체포..
 
최신 인기뉴스
속보) '국민 배우' 이순재, 향년 91세로 별세…..
전국 비, 황사 섞여 내리는 곳 있어 주의…초미세먼..
백종원 '남극의 셰프' 치킨난반 레시피, "PPL ..
이재명 대통령,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
4호선 오이도역 트롤리 궤도 이탈 사고 발생…수인분..
"셀프 거부 시도" 국가인권위 '헌법존중 TF' 설..
"데이터센터 열 잡고 달 기지 건설까지"… K·딥..
한동훈 전 대표, '새벽배송 제한 반대' 국회 국민..
경기 광주 쿠팡 물류센터서 50대 근로자 사망…과로..
칼럼) 빈센트 빌럼 반 고흐 "자연과 인간"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