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권을 상대로 한 통일교의 조직적 로비 의혹 수사가 교단 최고 지도자인 한학자(82) 총재를 정조준하고 있다. 김건희 여사와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 등의 정점에 있는 것으로 지목된 한 총재는 오늘(22일) 서울중앙지법에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는다. 법원의 판단에 따라 특검의 수사 향방이 결정될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특검팀은 한 총재가 2022년 1월 권성동 의원에게 불법 정치자금 1억 원을 제공하고, 같은 해 4월부터 7월까지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금품을 전달하도록 지시한 혐의(청탁금지법·정치자금법 위반) 등을 적용했다. 수십 년간 한 총재를 보좌한 정아무개 비서실장 역시 공모 혐의로 함께 영장심사를 받는다.
이번 영장 청구의 배경에는 먼저 구속기소 된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의 진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본부장은 "모든 사안을 총재에게 보고하고 승인받아 추진했다"고 진술했다. 특검은 이를 토대로, 통일교의 교리와 수직적인 조직 체계상 교단 최고 지도자인 한 총재의 지시나 승인 없이는 이 같은 대규모 로비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반면 한 총재 측은 "내가 그럴 필요가 있느냐"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모든 행위는 윤 전 본부장의 '개인적 범행'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통일교 측 역시 공식 성명을 내고 "한 총재는 어떤 불법적인 정치적 청탁 및 금전 거래를 지시한 적이 없다"며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다.
결국 오늘 영장심사에서는 윤 전 본부장 진술의 신빙성과 한 총재의 구체적인 지시·관여 여부를 두고 치열한 법리 다툼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검이 '윗선'의 책임을 규명하며 수사에 동력을 얻을지, 혹은 한 총재 측의 방어 논리에 막혀 난관에 부딪힐지 그 결과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