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라호텔이 11월 초로 예정된 국가 행사를 이유로 해당 기간 결혼식을 예약했던 고객들에게 일방적인 일정 변경을 통보했다가, 논란이 확산되자 예식 비용 전액을 지원하는 파격적인 보상안을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일생일대의 중대사를 앞둔 예비부부들의 강력한 반발과 افکار عمومی 악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사건의 발단은 최근 신라호텔 측이 11월 초 예식을 앞둔 일부 고객들에게 "국가적인 행사가 잡혀 부득이하게 예식을 진행하기 어렵게 됐다"며 예약 취소 및 변경을 요청하면서 시작됐다. 통상적으로 특급호텔 웨딩은 최소 1년 전부터 예약이 마감되며, 고객들은 예식일에 맞춰 스튜디오 촬영, 신혼여행, 하객 안내 등 모든 준비를 완료하는 만큼 호텔 측의 갑작스러운 통보는 당사자들에게 큰 혼란과 당혹감을 안겼다. 특히 변경 가능한 날짜 선택의 폭이 좁고, 이미 지불한 각종 위약금 문제까지 겹치면서 피해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초기 대응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호텔신라는 수습에 나섰다. 피해 고객들이 원하는 다른 날짜에 예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 조율하고, 이에 더해 식대와 대관료를 포함한 예식 관련 비용 전액을 호텔 측에서 부담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한 것이다. 이는 수천만 원에서 억대에 이르는 특급호텔 예식 비용을 감안할 때 매우 이례적인 보상 규모다. 호텔 측은 이번 조치를 통해 고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그러나 호텔신라는 구체적인 보상 내용이나 협의 과정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호텔 관계자는 "국가 행사로 인해 예식 일정을 부득이하게 조정하게 된 고객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히면서도 "보상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고객 정보에 해당하며, 현재 개별적으로 긴밀히 협의를 진행하고 있어 외부에 공개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편, 이번 사태를 촉발한 '국가 행사'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알려진 바가 없어 여러 추측을 낳고 있다.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나 확인이 없는 상태에서 민간 기업의 중요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할 정도의 비중 있는 행사가 무엇인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중요한 개인 행사가 국가적인 이유로 예고 없이 취소될 수 있다는 선례가 남게 되면서, 향후 유사 사례 발생 시의 명확한 기준과 보상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