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통신비 할인 효과 소멸, 물가 상승률 2%대 복귀

박태민 기자 | 입력 25-10-02 09:12



일시적인 휴대전화 요금 할인 효과가 사라지면서 1%대까지 떨어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국제 유가 상승세 전환 등 불안 요인이 여전한 가운데, 폭염과 가뭄에도 불구하고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며 물가 상승 압력을 일부 완화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2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이는 8월 상승률인 1.7%에 비해 0.4%포인트 확대된 수치다. 이로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과 7월에 이어 다시 2%대에 진입하게 됐다.

지난 8월 물가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둔화했던 가장 큰 원인은 SK텔레콤의 휴대전화 요금 할인 정책이었다. 이 기저효과가 소멸되면서 지난달 물가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휴대전화 요금이 포함된 공공서비스 물가는 8월 3.6% 하락에서 9월 1.2% 상승으로 전환하며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가데이터처는 이러한 일시적 요인을 제외할 경우 8월 물가 상승률 역시 2.3% 수준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국제 정세의 영향을 받는 석유류 가격 또한 물가 상승에 가세했다. 8월에 1.2% 하락했던 석유류 가격은 지난달 2.3% 상승으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의 변동성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재확인시켜주는 대목이다.

반면,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농축수산물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전체 상승률은 8월 4.8%에서 9월 1.9%로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다.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 상승률이 각각 5.4%, 6.4%로 소폭 축소됐고, 특히 농산물 가격은 1.2% 하락하며 지난 6월 이후 석 달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품목별로 보면 찹쌀(46.1%)과 쌀(15.9%) 가격은 크게 올랐으나, 당근(-49.6%), 무(-42.1%), 배추(-24.6%) 등 주요 채소류 가격이 급감하며 농산물 가격 안정을 이끌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4.2%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커피(15.6%)와 빵(6.5%) 등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

정부의 일시적 정책 효과가 사라지고 국제 에너지 가격의 불확실성이 맞물리면서 물가 관리에 대한 당국의 고심은 깊어질 전망이다. 다만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물가 흐름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9월 수출 659억 달러, 월간 기준 사상 최대…반도체·자동차가 '쌍끌이'
유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7%, 소폭 하락세…민주·..
속보) 한동훈, "통일교 총재와 부적절한 접촉 응하..
속보) 공수처 '지귀연 의혹' 강제수사, 법원 문턱..
속보) 코스피, 역사적 이정표 세우다…사상 첫 3,..
통신비 할인 효과 소멸, 물가 상승률 2%대 복귀
국가 행정 기록 증발, 재난 대비 부재가 낳은 참사
법원, 한학자·권성동 구속 유지 결정… "청구 이..
국회 의원회관 남자화장실서 손도끼·너클 발견…경찰..
엄희준, 쿠팡 불기소 결정문서 '민사로 다툴 부분'..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 출범…민간위원 26명
 
최신 인기뉴스
단독) 셀업유니온, (주)파이온텍 전국 디렉터 세미..
속보) 대통령실, 김남준 부속실장 신임 대변인 임명..
'정부24' 극적 복구됐지만…핵심 시스템 완전 정상..
속보) '중국인 무비자 관광객 칼부림' SNS에 협..
정부, '1등급 시스템 55%' 복구 발표…중단된 ..
대법, '지귀연 뇌물수수' 2심 무죄 확정…
..
수도권 군사보호구역 398만㎡ 해제…김포·강화·..
속보) "국민 메신저"의 변신, 이용자 반발에 '백..
속보) "추석 소포 대란 막아라"…우편 서비스 대부..
"배터리 화재, 자체 진화 불가능"…119 녹취록으..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