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FA 최대어" 박찬호, 100억 원대 계약 현실화되나

이지원 기자 | 입력 25-10-08 23:59



2024시즌 KBO리그 통합 우승의 주역이자 리그 정상급 유격수로 우뚝 선 박찬호(30·KIA 타이거즈)가 생애 첫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으면서 스토브리그의 문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공수 양면에서 완성형 선수로 거듭난 그의 가치가 과연 어느 정도의 평가를 받을지에 KBO리그 팬들과 구단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신인드래프트 2차 5라운드 지명이라는 비교적 낮은 순위로 프로에 입문한 박찬호는 꾸준함과 성실함으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왔다. 특히 주전으로 도약한 2019년부터 올해까지 7시즌 연속 130경기 이상을 소화한 그의 '철강왕' 면모는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2023년에는 타율 0.301을 기록하며 데뷔 첫 3할 타율을 달성했고, 2024년에는 팀을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며 생애 첫 골든글러브와 2년 연속 KBO 수비상을 품에 안는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비록 팀 성적 하락과 함께 2025시즌 타율이 0.287로 소폭 하락했지만, 팀 내 부상자가 속출하는 와중에도 유격수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내구성과 안정감을 과시했다. 최근 4년간 그가 기록한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합계는 15.18로, 연평균 약 3.8승을 팀에 더 안겨준 리그 최상위권 내야수임을 입증했다.

FA A등급이 유력한 박찬호의 몸값은 최소 80억 원에서 시작해 경쟁 구도에 따라 100억 원을 훌쩍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최근 FA 시장의 가치 평가 기준인 1WAR당 5~6억 원을 적용하면 약 75억에서 90억 원 사이의 가치로 평가되지만, 이는 최소 보장 금액에 가깝다. 내야의 사령관이자 수비의 핵심인 유격수 포지션의 희소성과 30세라는 젊은 나이는 그의 가치를 더욱 끌어올리는 요소다.

비교 대상으로는 리그 최고 유격수 오지환(LG)의 6년 124억 원 계약과 심우준(한화)의 4년 50억 원 계약이 거론된다. 박찬호는 공수 양면의 기여도 면에서 이들 사이에서 자신의 가치를 평가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 시즌 유격수 포지션에서 약점을 보인 몇몇 구단들이 박찬호 영입전에 뛰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그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을 가능성이 크다. 원소속팀 KIA 타이거즈 역시 핵심 전력인 그를 반드시 잡겠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스토브리그는 '박찬호 쟁탈전'이 될 전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손흥민 '한가위 축포'는 불발…LAFC는 극장골로 5연승
스포츠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내란' 수사,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구속영장 청..
한미 관세협상 난기류, 񓷌억 달러 현..
헝가리 작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2025 노벨..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올해의 기업인 최우수상" 셀..
한글, 세종시에 피어나다…'2025 세종 한글 축제..
'가짜 영수증'으로 세금 빼돌린 기부단체들…수백억 ..
이 대통령, 한글날 "국민주권 정신 깃든 문화유산…..
금값, 온스당 4,000달러 돌파…글로벌 불확실성에..
"유커가 돌아왔다"…무비자·국경절 특수에 명동 상..
이 대통령, "이스라엘 나포 국민 석방에
외..
 
최신 인기뉴스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올해의 기업인 최우수상" 셀..
"전세사기 주택은 돈"… HUG 상대 소송 부추긴 ..
일본 열도, 30번째 노벨상 쾌거에 "환호"… 2년..
"FA 최대어" 박찬호, 100억 원대 계약 현실화..
"분자 건축술로 새 지평"…2025 노벨화학상에 '..
단독) "주식회사 파이온텍 혁신기업"
오송생..
10월의 변덕스러운 날씨, 추석 연휴 뒤덮은 비와 ..
면역학계 거두들, 2025 노벨 생리의학상
..
한미 관세협상 '외환시장 충격' 공감대…APEC서 ..
가자행 구호선단 이스라엘에 나포…정부, "한국인 활..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