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김혜성, NLCS 로스터 포함 불투명…다저스 내 입지 시험대에

정기용 기자 | 입력 25-10-13 17:55



LA 다저스의 김혜성(26)이 내셔널리그 챔피언십시리즈(NLCS) 로스터에 오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스트시즌에서 존재감이 미미했던 만큼, 이번 시리즈는 그의 입지를 가늠할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다저스는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3승 1패로 꺾고 NLCS 진출을 확정했다. 오는 14일(한국시간)부터는 정규시즌 승률 1위 밀워키 브루어스와 월드시리즈 진출을 놓고 맞붙는다.

김혜성은 올 시즌 다저스에 합류한 뒤 멀티 포지션 소화와 빠른 주루를 강점으로 평가받으며 와일드카드 시리즈(WCS)와 디비전시리즈(DS) 로스터에 포함됐다. 그러나 실제 출전 기회는 많지 않았다. 신시내티 레즈와의 WCS 1·2차전, 필라델피아와의 DS 1~3차전에 모두 결장했다.

다저스가 시리즈를 마무리한 DS 4차전에서 김혜성은 연장 11회말 대주자로 나서 상대의 송구 실책을 틈타 홈을 밟으며 끝내기 득점을 기록했다. 팀의 NLCS 진출을 확정짓는 결정적인 장면이었지만, 경기 전반적인 출전 비중은 여전히 낮았다.

MLB닷컴 다저스 담당 소냐 첸 기자는 NLCS 로스터 전망 기사에서 가장 먼저 김혜성의 포함 여부를 언급했다. 그는 “다저스는 오타니 쇼헤이를 제외하고도 투수를 한 명 더 추가해 13명으로 구성할 가능성이 크다”며 “남은 야수 자리 한 자리를 놓고 저스틴 딘, 김혜성, 달튼 러싱이 경쟁하고 있다”고 전했다.

첸은 또한 “김혜성은 빠른 발과 2루 수비 능력을 갖춰 토미 에드먼의 체력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선수”라면서도 “포스트시즌에서 기회를 거의 받지 못한 점을 고려하면 로스터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다저스 데이브 로버츠 감독의 운용 스타일도 김혜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로버츠 감독은 디비전시리즈에서 중견수 앤디 파헤스가 타율 1할에도 못 미치는 부진을 보였음에도 기용을 이어갔다. 이는 장기적인 팀 플랜 속에서 주전급 유망주에게 경험을 쌓게 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외야 수비가 가능한 키케 에르난데스, 알렉스 콜, 김혜성 등 다목적 자원들이 있음에도 로버츠 감독은 교체 카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김혜성이 대수비나 대주자 외의 역할을 부여받지 못한 이유다.

결국 첸 기자는 “달튼 러싱과 김혜성 중 한 명이 NLCS 로스터에서 빠질 가능성이 크다”며 “러싱은 포수 자원으로서 가치가 더 높다”고 전망했다.

김혜성은 올 시즌 정규리그에서 타율 0.278, 7홈런, 49타점, 25도루를 기록하며 준수한 성적을 남겼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선 팀 내 입지와 기용 전략의 한계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이번 NLCS는 그가 다저스 내 ‘유틸리티 자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여자탁구, 홍콩 꺾고 4강 진출…중국과 준결승 격돌
김혜성 끝내기 득점…다저스, 필라델피아 2-1 제압하고 NLCS 진출
스포츠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대법원, 이재명 대통령 사건 기록 인계일 ‘4월 2..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피해 시스템 복구 속도…20..
캄보디아 출국 30대 남성, 현지 범죄 조직에 납치..
속보) 경찰, 류희림 전 방심위원장 ‘민원사주 의혹..
‘12·3 내란’ 한덕수 재판서 대통령실 CCTV..
속보) 조희대 대법원장 질의 강행에 여야 충돌…
속보) 조희대 대법원장 국감 출석 “법관 증언대 세..
검찰, 수사권 조정 이후 ‘비공개 예규’ 늘려… “..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혐의 재판장 지귀연 판사 “..
이재명 대통령 "세관 마약수사 외압 의혹, 성역 없..
 
최신 인기뉴스
세종시 인구 감소세 전환, 행정수도 정책 불확실성이..
트럼프 “시진핑 회담 여부 불투명하지만 APEC 참..
김민석 총리 “왜 그렇게 어리석나” 발언, 서울시 ..
가자행 구호선단 나포된 한국인 김아현, 이틀 만에 ..
속보) 코스피, 장중 3600선 첫 돌파…반도체 훈..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 대법원 결론 임박…..
일본 공명당, 26년 만에 연정 탈퇴…다카이치 총리..
2025 노벨평화상, 베네수엘라 민주화 운동가 마차..
휴일 전국 흐리고 강원 영동 비…낮 최고 28도
트럼프 서명한 ‘지니어스법’,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