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은 스마트폰 키패드에서 번호 입력만으로 고객이 원하는 모바일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다이얼링크(Dial Link)’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다이얼링크는 키패드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한 ‘번호’와 ‘별표(*)’를 입력 후 통화 버튼만 누르면 지정된 웹 환경으로 바로 접속되는 서비스다. 별도로 앱을 설치하거나 인터넷 검색 없이 통화 버튼만으로 쉽고 편하게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자체, 공공기관은 상대적 정보 취약 계층에게 더욱더 쉽게 공지사항이나 제도를 알릴 수 있는 새로운 채널로 활용할 수 있다. SKT는 다이얼링크에 대해 다수의 지자체와 공공기관, 기업이 다이얼링크 도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다이얼링크를 통해 시니어 고객 등 PC와 모바일 앱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의 정보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T는 다이얼링크 출시를 기념해 세종시, 11번가 등에서 먼저 서비스를 선보였다.
  먼저 세종시는 다이얼링크를 저시력자, 키보드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등 정보취약 계층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서비스로 활용하기로 했다.
  전화 다이얼에서 ‘044*’를 입력 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즉시 세종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이얼링크를 통해 접속한 웹페이지 상단에는 코로나19 홈페이지와 세종시청 홈페이지가 보이고 이어서 빠른 민원, 체육시설 통합예약 시스템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11번가는 다이얼링크를 상품 구매 고객들의 문의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고객 지원 채널로 활용한다.
  전화 다이얼에서 ‘11*’를 입력 후 통화 버튼을 누르면 바로 11번가 고객센터 웹페이지로 연결된다. 기존의 앱을 다운로드하고 고객센터 페이지를 찾아가 로그인하는 등 복잡한 경로를 간편화했다.
  11번가처럼 기업들은 다이얼링크를 통해 숫자 기반으로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표 연락처에 다이얼링크 서비스를 적용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홍보 채널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홈쇼핑 판매 업체들도 고객 접근성과 구매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 다이얼링크를 활용할 수 있다.
  다이얼링크 서비스 적용을 원하는 기업, 기관들은 SKT 법인고객센터 홈페이지 또는 전화상담을 통해 문의할 수 있으며, 키패드에서 ‘1312*’을 입력 후 통화 버튼을 누르면 다이얼링크 서비스 소개 웹사이트로 연결된다.
  다이얼링크 서비스는 통신사 관계없이 안드로이드폰에서는 모두 이용 가능하며, iOS 사용자는 문자메시지로 웹 링크를 전달받게 되며 SKT 고객만 이용할 수 있다.
  SKT 이용익 Cloud 사업개발담당은 “이번 다이얼링크 서비스를 통해 기업은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을, 공공기관 및 지자체는 정책 활동, 공공서비스 안내 등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조만간 다이얼링크를 개인도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는 등 다이얼 키패드에서 웹 환경까지 모든 국민을 연결하는 서비스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서울 : SK텔레콤]  
		
		 | 
         
      
        |   | 
       
		  
      
        | 
		
		
		
		
		
 |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   | 
       
     
       | 
    
  
    
      
         | 
       
      
        
		          
             | 
             
          
          
              | 
            김선영 YTN 앵커, 별세한 백성문 변호사 추모 <.. | 
           
          
          
              | 
            미-중 무역 합의 발효 임박, 한화오션 美 자회사 .. | 
           
          
          
              | 
            역대 최대 10월 수출액 달성, 무역수지 흑자 행진.. | 
           
          
          
              | 
            APEC 2025 경주 정상회의 만찬 리셉션, K-.. | 
           
          
          
              | 
            "정부, '핼러윈 특별대책 기간' 안전관리 총력…홍.. | 
           
          
          
              | 
            대학가, AI 연구 열풍 속 '전력 절벽' 직면.... | 
           
          
          
              | 
            비트코인, 미일 정상회담에도 ‘무반응’…시장 흔들기.. | 
           
          
          
              |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36년 전 '힐즈버러 참사'.. | 
           
          
          
              | 
            한중, 11년 만의 국빈 방한으로 한중 관계 새 장.. | 
           
          
          
              | 
            젠슨 황의 '통 큰 선물', 단순한 친교 넘어선 미.. | 
           
          
          
             | 
             
          | 
       
      | 
   
  
    |   | 
   
 
 | 
   
 
  
     | 
   
  
  | 
  	
 
   | 
   
  
  
     | 
   
  
     | 
   
  
     | 
   
  
     | 
   
  
    |   | 
   
  
    |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 
   
  
    |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