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올해 공무원 정원 1% 감축…416명 순감

행정안전부 | 입력 13-12-04 09:26

정부가 부처별 공무원 정원의 1%를 감축ㆍ재배치하는 ‘통합정원제’를 실시해 올해 416명의 공무원을 감축했다.

또 626명은 국세ㆍ관세 분야 현장인력과 화학재난 대비 합동 방재센터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재배치했다.

안전행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직제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ㆍ의결됐다고 3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라, 정부는 올해 통합정원제 시행 대상인 각 부처별 일반직ㆍ기능직 공무원 정원의 1% 수준인 1042명을 감축해 이 가운데 626명을 재배치했고 나머지 416명은 줄였다.

재배치된 인력은 ▲화학재난 대비 6개 지역 합동 방재센터 구축(80명) ▲지하경제 양성화 위한 국세ㆍ관세분야 현장인력(183명) ▲청소년 비행 및 성폭력 예방 등(18명) ▲원자력 안전 및 품질규제 강화(9명) ▲세종청사 2단계 방호인력(61명) ▲국립세종도서관(19명) 등의 업무를 맡았다.

통합정원제는 매년 전 부처 정원의 일정비율을 통합정원으로 지정해 주요 국정ㆍ협업과제 등 신규 인력수요에 재배치하는 제도로 지난 3월 26일 국무회의시 “정부 내 불필요하게 운영되는 인력을 발굴해 새로운 사업에 투입하라”는 박근혜 대통령 지시에 따라 이뤄지게 됐다.

제도는 행정부 공무원 중 일반직ㆍ기능직 및 일부 특정직(외무)을 대상으로 하며 경찰ㆍ소방ㆍ사회복지 분야와 정무ㆍ별정ㆍ계약직은 제외된다. 또 1% 수준의 적정 비율로 통합정원을 지정하고 5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정부는 매년 1%씩 5년간 통합정원제를 실시할 경우 총 5%의 인력 전환 재배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성렬 안행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종전에는 인력감축 목표없이 인력수요 발생시 수시로 인력증원을 실시했으나 통합정원제 도입에 따라 연초에 매년 1%정도의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그 범위 내에서 연중 인력을 증원함으로써 정부내 상시적인 인력효율화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또 “앞으로도 불필요한 부분은 줄이고 부처간 정원을 재배치하는 등의 인력효율화 작업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안전행정부 조직기획과 02-2100-3492


[자료제공 :(www.korea.kr))]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행복배달 빨간자전거’전국을 달린다
전국 42개 버스·택시회사 교통우수회사 선정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스물세 살 안세영, 배드민턴 여자단식 역대 최고 선..
격렬한 광주 시민 반발에 막힌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팀, 김건희 씨에 24일 소..
속보) 도의회 "특근매식비 부정 사용" 의혹 제기된..
이재명 정부 첫 대통령실 국정감사, 여야 "몸싸움"..
속보) 울산 화력발전소 대형 구조물 붕괴 참사.....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인증 받은 ‘볼륨톡스 엑스티 ..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2025년 신뢰받는 의료인 양..
국회, 이재명 정부 첫 대통령실 국정감사 돌입…야당..
김건희, 건진법사로부터 샤넬 가방 2개 수수 인정…..
 
최신 인기뉴스
세종 국가상징구역, ‘완성형 행정수도’로…대법원·..
단독) 파이온텍 ‘볼륨톡스 엑스티 울쎄락’ 출시, ..
경찰, 유승민 전 의원 딸 유담 인천대 교수 임용 ..
창원 중학교 교장, 20대 신임 교사 성추행 혐의 ..
이재명 정부, 728조 원 ‘AI 시대 첫 예산’ ..
단독) 파이온텍 2026년 K-뷰티 혁신제품 공식 ..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인증 받은 ‘볼륨톡스 엑스티 ..
특검, "대통령실, 체코 언론 '김건희 사기꾼' 기..
속보) '양평 공흥지구 의혹' 김건희 씨 모친 최은..
국민의힘, "추경호 구속영장 청구는 야당 탄압" 이..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