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국립재활원, 장애인의 게임 보조기기 개발·활용 매뉴얼 발간

최진수 기자 | 입력 22-02-14 22:51



국립재활원(원장직무대리 김완호)이 노인·장애인의 여가활동에서의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활용 매뉴얼 ‘누구나 게임을 할 수 있다-“같이게임, 가치게임 자조모임”을 중심으로’를 발간했다.

같이게임, 가치게임 자조모임은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사업인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20년~’2023년)’의 하나로 뇌병변 장애인과 함께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모임이다. 정기 워크숍, 보조기기 개발 및 개조, 사용성 평가 등을 수행한다.

게임 접근성(Game Accessibility)은 다양한 장애나 어려움을 가진 사람들이 게임에 접근하거나 즐기는 데 불필요한 장벽을 허무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매뉴얼은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 5가족과 게임, 치료, 교육, 심리 전문가들이 함께 수행한 게임 경험을 바탕으로 게임을 하고 싶지만 방법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을 위해 제작됐다.

뇌성마비 장애인 5명이 부모, 형제, 자매들이 함께 같이게임, 가치게임 자조모임에 참여해 각자의 어려움이나 새로운 경험을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오프라인 모임 등 다양한 채널에서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으며 해결했다.

국립재활원에서는 같이게임, 가치게임 자조모임을 통해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12종을 개발했다(개발 10종, 개조 2종).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는 기존의 게임기기, 게임 콘텐츠에 장애인이 접근하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 기기다(개발·개조·제작·적용 포함).

매뉴얼에는 자조모임을 통해 수집된 체험 수기, 기능적 자세 및 조작·스위치 훈련·게임기와 콘텐츠·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제작에 관한 정보들이 종합적으로 정리돼 있다.

또 새로운 취미 발견, 감정 조절하기, 가족과의 관계 향상, 더 많은 친구를 만나는 경험 등과 같이 게임 활동에 따른 장애인의 삶의 질 변화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재활원은 발간된 매뉴얼을 노인·장애인 유관기관(노인·장애인복지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 대상으로 배포하고 있다.

해당 책자의 내용(PDF 파일)은 국립재활원 소식알림 발간자료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3월 이후에는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서도 공개할 예정이다.

매뉴얼 책자는 2월 28일까지 이메일로 접수받아 100부 한정 선착순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 : 국립재활원]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결원, 서울시 교육청 입학 준비금 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 지급 시작
국립생태원, ‘제4회 멸종위기 야생생물 상상그림 및 상상뉴스 공모전’ 개최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최민희 'MBC 본부장 퇴장' 조치에...여당 내부..
성심당, 11월 3일 전 매장 '임시 휴무'...사..
통합자세의학회·㈜파이온텍 학술 바이오 연구 협력 ..
주말 늦가을 날씨 만끽...다음 주 '초겨울' 강력..
속보) 코스피, '꿈의 4000' 목전...장중 3..
"두 번" 대 "일곱 번"...국감장서 정면충돌한 ..
트럼프 대통령 29일 방한 확정...이재명 대통령과..
특검 '투 트랙' 수사 명암...임성근 구속, '수..
비트코인 1억 6천만 원대 횡보 속 '금 추월' 기..
이재명 대통령, 사정기관 정면 겨냥..."법치 파괴..
 
최신 인기뉴스
광복 80주년 기념 ‘홍익인간 효·인성 강연회 및..
종묘 이어 경회루까지...김건희, 국보 사적활용 의..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속보) 이재명 대통령 "권력 아닌 국민의 경찰 돼야..
국감 중반전, '사법개혁'·'부동산' 전선 격화...
선정성 논란 '메이드 카페', 청소년 무방비 노출 ..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로 3연속 ..
대법원 "지귀연 판사 술값 170만 원, 징계 사유..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