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좋은땅출판사, 포토에세이 ‘혼자 보기 아까운 우리나라 바닷가’ 출간

김미경 기자 | 입력 23-10-23 23:42



좋은땅출판사가 포토에세이 ‘혼자 보기 아까운 우리나라 바닷가’를 펴냈다.

코리아 둘레길은 우리나라 외곽의 길들을 연결해 조성한 총 4544㎞의 길로 서해안 서해랑길, 남해안 남파랑길, 동해안 해파랑길로 나뉜다. 이것을 모두 연결하면 한반도 반 바퀴를 돌게 되는 것이다. ‘혼자 보기 아까운 우리나라 바닷가’는 이들 둘레길을 따라 한반도 반 바퀴를 돌며 우리나라의 바닷가를 사진으로 담은 책이다.

정해진 루트도, 기한도 없이 자유롭게 가는 길이라 해도 만만치 않은 여정이었다. 저자는 사유지와 큰 산업단지가 외부인이라고 가로막아도 일단 시도해 보기도 하고, 인가가 없는 곳에서는 식사 대용식으로 때우기도 했다. 이렇게 고행에 가까운 트레킹을 하며 저자는 약 1100기가, 30만여 장의 사진을 찍었고, 그중 350여 장을 엄선해 책으로 펴냈다. 사진은 트레킹 순서대로 배치돼 저자의 여정을 고스란히 그려냈다.

이 책에서 눈에 띄는 점은 사진 하단에 배치된 3~4줄 남짓한 짧은 설명글(캡션)이다. 캡션은 독자의 사진 감상을 돕는 동시에 독자와 저자의 교류가 일어나게 하는 장치다. 저자는 사진 크기를 정해 놓으니 두 줄은 짧고, 넉 줄은 시조처럼 길어서 석 줄로 정했다고 한다. 촬영 당시의 감상, 인생의 교훈 등을 압축적으로 표현했다. 예를 들어 새만금 간척지 사진에서 조물주가 ‘사람 욕심은 못 메우겠다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다는 표현은 인간의 욕심을 가볍게 꼬집는 재치가 돋보인다. 제일기획, 농심기획과 같이 유수의 광고회사에서 광고기획자로 일했던 저자의 관록이 빛나는 지점이다.

책 출간 후 저자는 또다시 여행길에 오른다. 한 달간 히말라야를 다녀올 것이고, 그 뒤에도 떠나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광고기획자로, 지금은 서양화가로 왕성하게 창작 활동을 하고 있는 그는 창작을 위해서는 좋은 것을 더 찾으려는 시도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가 보지 않은 길을 겁내지 말고, 해 오던 대로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여정은 아직 끝난 것이 아니다.

[서울 : 좋은땅 출판사]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잡지협회, 세종시립도서관과 ‘근현대잡지 특별전’ 개최
집단지성과 AI 툴을 활용한 ‘스토리 IP 창작캠프’ 개최
출판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보도 항의"성 퇴장 조치, 한..
경찰 창경 80주년, '보라색 혹평' 딛고 새 경찰..
국내 금 "김치 프리미엄" 20% 육박 후 8%대로..
"제주 4·3 김일성 지시설" 발언 태영호 전 의..
"여기 세워" 무리한 요구 거절하자 운전자 폭행… ..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정청래 "조희대, 사법부 수장 자격 이미 상실…거취..
"코로나 진원지" 신천지 이만희, 적십자 회장 표창..
정부, 유류세 인하 연말까지 '조건부 연장'...인..
북한, 5개월의 침묵 깨고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최신 인기뉴스
광복 80주년 기념 ‘홍익인간 효·인성 강연회 및..
종묘 이어 경회루까지...김건희, 국보 사적활용 의..
이재명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천명..."예상..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속보) 이재명 대통령 "권력 아닌 국민의 경찰 돼야..
국감 중반전, '사법개혁'·'부동산' 전선 격화...
선정성 논란 '메이드 카페', 청소년 무방비 노출 ..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캄보디아 '실종' 한국인 연 3천 명...스캠 연루..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