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국립민속박물관 2024 k-museums 공동기획전, '노릇노릇 부산'을 개최

김진오 기자 | 입력 24-07-01 07:30



이번 전시는 박물관이 지난해 12월 국립민속박물관의 ‘k-museums 공모’에 선정돼 국비를 지원받아 공동 기획한 전시입니다.
부산시어(市魚) 고등어와 부산의 해양수산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리고자 기획하였습니다.
6월 24일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6월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138일간 개최됩된다.

특히, 고등어의 생물학적·영양학적 특징뿐만 아니라 잊혀가는 고갈비 문화와 부산만의 독특한 해양수산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국·공립박물관의 대여유물 및 박물관 소장 표본 100여 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는 ▲1부 <부며들다> ▲2부 <고며들다>, 총 2부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 <부며들다 –파닥파닥 고등어>에서는 고등어가 부산에 스며든 과정을 유물과 영상매체 등을 통해 살펴봅니다.
 특히 부산공동어시장과 자갈치시장 등 부산이 고등어 유통의 중심지가 된 과정을 살펴보고, 시어로 지정된 이유를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 2부 <고며들다 –노릇노릇 고갈비>에서는 고등어가 부산에 스며들었듯 부산 사람들이 고등어에 스며드는 과정을 유물과 재현품, 시·청각 자료 등을 통해 살펴봅니다.
 특히 7080 광복동의 고갈비골목을 재현해 그 시대의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고등어가 밥상 위에 오르기까지의 과정, 고등어 요리 조리법, 맛집 지도 등 고등어가 국민 생선이 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합니다. 
 
이외에도, 고등어와 관련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엘피(LP)판·씨디(CD)플레이어를 통해 고등어 관련 노래를 듣고 ▲고등어 요리 체험과 함께 ▲고등어 관련 책을 읽어보고 ▲고등어에게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전할 수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부산 시민들이 부산시어 고등어와 고등어에 얽힌 부산의 독특한 해양수산문화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란다.
 
 ∎ 전시기간: 2024. 6. 25.(화) ~ 12. 1.(일)

 ∎ 전시내용: 부산시어 고등어와 부산의 해양민속문화에 대한 전시

 ∎ 전시장소: 해양자연사박물관 기획전시실(2관 3층)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 청년들의 축제, 「2024 부산스텝업댄스페스티벌」 개최
울산경제자유구역청 혁신성장 기능 보강으로 미래 신산업 선도
(경상ㆍ부산ㆍ울산)지국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채상병 특검, '외압 핵심' 유재은 4차 소..
서울 구로구 고등학교 분리수거장서 수류탄 발견…군경..
"비어있는 운전석"…휴게소 주유 차량이 덮친 고속도..
'사망자 금목걸이 절도' 30대 검시관 "죄송하다"..
'노란봉투법', 野 퇴장 속 본회의 통과
순천 레미콘 공장 질식사고, 결국 전원 사망…공장장..
주말 찜통더위 절정…전국 폭염 속 요란한 소나기
속보) 서울고검, '김건희 허위경력 의혹' 재수사 ..
北, 신형 지대공미사일 2종 시험발사…한미일 순방 ..
美정부, 인텔 최대주주로…'트럼프식 압박'에 K반도..
 
최신 인기뉴스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 방문진법, 국회 본회의 ..
속보) 국민의힘, 당 대표 결선투표 확정…
김..
EBS 이사 확대 및 추천 주체 다양화 개정안, 국..
싸이 흠뻑쇼 공연장 무단 관람 경찰관, 자체 감찰 ..
법무부, 검찰 중간간부 인사…'여성 검사' 전면 배..
속보) 위성락 주미대사, 한미 비핵화 논의에 3단계..
김건희, '통일교 청탁 의혹' 특검 조사 진술 거부..
이재명 대통령 "위안부·징용 합의,
국가 ..
"원조 국민 엄마" 박미선, 유방암 투병 사실 알려..
황정음, 회사 자금 횡령 혐의에 징역 3년 구형…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