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광주시내버스 노조 전면 파업 돌입, 시 비상수송대책 가동

광주지국 | 입력 25-06-05 09:29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조가 5일 전면 파업에 돌입하면서 시민들의 출퇴근길에 큰 혼란이 예상된다. 광주시는 이에 대응하여 비상수송대책을 가동, 평상시 대비 70% 수준의 시내버스 운행률을 유지하고 다른 교통수단 확대를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파업은 전남지방노동위원회의 시내버스 임금 및 단체협상 3차 조정이 최종 결렬됨에 따라 발생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광주 버스노조와 광주 지역 10개 시내버스 회사들로 구성된 광주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전날 오후 4시부터 5일 새벽 1시경까지 협상을 이어갔으나, 양측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기본급 8.2% 인상과 정년을 현행 61세에서 65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했으나, 버스조합 측은 만성적인 운영 적자를 이유로 임금 동결을 주장하며 첨예하게 대립해왔다. 지난달 27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 파업 찬반 투표에서는 조합원 1400여 명 중 89.2%가 찬성표를 던지며 파업 의지를 강력히 표명한 바 있다.

광주시는 노조의 파업 돌입에 따라 5일 첫차 운행부터 차질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여 즉각적인 비상수송대책 가동에 나섰다. 시는 비노조원들을 긴급 투입하여 전체 시내버스 운행률의 70% 수준인 700대 가량을 운행할 방침이다. 만약 시내버스 파업이 장기화되어 운전원들의 피로가 누적될 경우, 추가적으로 임차버스를 투입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시민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광주시는 변경된 시내버스 운행 노선과 시간표 정보를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시스템과 빛고을콜센터(1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안내하고 있다. 또한, 시내버스 운행 감소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 분산을 위해 도시철도와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의 운행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광주시는 자치구, 교육청, 공공기관, 기업 등 유관 기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도 추진하고 있다. 등하교 시간 조정, 출퇴근 유연근무 확대, 승용차 함께 타기 캠페인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는 대중교통 이용객 감소를 유도하고 자가용 이용자의 효율적인 교통 패턴을 장려하여 전체적인 교통 체증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광주시의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내버스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사태 해결을 위해 노사 양측의 합의를 지속적으로 촉구하는 한편,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 수송 대책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고창서 80대 전동 보조기 탑승자, 1톤 트럭과 충돌 후 숨져
속보) 대학·정당·프로구단 사칭 '노쇼 사기' 기승… "업체 지정 선입금 유도"
(전라도ㆍ광주)지국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보도 항의"성 퇴장 조치, 한..
경찰 창경 80주년, '보라색 혹평' 딛고 새 경찰..
국내 금 "김치 프리미엄" 20% 육박 후 8%대로..
"제주 4·3 김일성 지시설" 발언 태영호 전 의..
"여기 세워" 무리한 요구 거절하자 운전자 폭행… ..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정청래 "조희대, 사법부 수장 자격 이미 상실…거취..
"코로나 진원지" 신천지 이만희, 적십자 회장 표창..
정부, 유류세 인하 연말까지 '조건부 연장'...인..
북한, 5개월의 침묵 깨고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최신 인기뉴스
광복 80주년 기념 ‘홍익인간 효·인성 강연회 및..
종묘 이어 경회루까지...김건희, 국보 사적활용 의..
이재명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천명..."예상..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속보) 이재명 대통령 "권력 아닌 국민의 경찰 돼야..
국감 중반전, '사법개혁'·'부동산' 전선 격화...
선정성 논란 '메이드 카페', 청소년 무방비 노출 ..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대법원 "지귀연 판사 술값 170만 원, 징계 사유..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