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기업회생 절차 중인 홈플러스의 '유동화증권' 사태와 관련하여 롯데카드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을 단행하며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그리고 롯데카드가 공모하여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끼쳤다는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의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이승학)는 14일 롯데카드 본사에 수사관들을 파견하여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롯데카드가 홈플러스의 부실을 인지한 상태에서 '기업 구매 전용 카드'를 통해 대규모 단기 채권을 발행하고 이를 유동화증권으로 판매하여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는 고소·고발 사건과 관련이 깊다.
홈플러스는 지난 2020년부터 납품업체에 '기업 구매 전용 카드'를 통해 외상 거래를 해왔다. 카드사들은 홈플러스로부터 받을 카드 대금을 담보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판매했는데, 홈플러스가 경영 악화로 인해 지난 3월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카드 대금을 결제하지 못하게 되자 약 3,419억 원 규모의 유동화증권 투자금이 회수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특히 이번 수사의 핵심은 롯데카드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과 경영 악화를 충분히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2022년 2월부터 홈플러스와 카드 거래를 시작했으며 이후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강등된 2022년 8월 이후에도 롯데카드 이용액이 2023년 1,264억 원에서 작년 7,953억 원으로 6배 이상 급증했다는 점이다. 투자자들은 홈플러스가 재무 상황 악화를 숨기기 위해 계열사인 롯데카드를 동원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홈플러스의 회생 신청으로 롯데카드 역시 약 600억 원가량의 손실을 입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배임 혐의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롯데카드의 내부 자료, 거래 내역, 관련자들의 통신 기록 등을 확보하여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롯데카드가 조직적으로 투자자들의 피해를 고의로 키웠는지 여부를 밝혀낼 계획이다.
이번 롯데카드 압수수색은 홈플러스 사태의 본질이 단순한 경영 실패를 넘어선 조직적인 금융 범죄일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음을 보여준다.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관련 기업 및 인물들에게 법적 책임이 따를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