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발을 묶을 뻔했던 부산지하철 총파업이 시작 당일인 17일 새벽, 노사의 극적인 잠정 합의로 철회됐다. 임금 인상률과 통상임금 적용에 따른 수당 지급 문제 등을 두고 평행선을 달리던 노사는 마라톤협상 끝에 파업 시한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접점을 찾았다. 이번 타결로 부산교통공사는 2019년 이후 6년 연속 무분규 기록을 이어가게 됐으며, 시민들은 출근길 교통대란을 피할 수 있게 됐다.
부산교통공사 노사는 파업 예정일 하루 전인 16일 오후 3시부터 부산 금정구 노포차량기지에서 마지막 교섭에 돌입했다. 팽팽한 긴장감 속에 6시간 넘게 이어진 마라톤협상 끝에 노사는 밤 9시 30분경 마침내 잠정 합의안을 도출해냈다. 이에 따라 노조는 17일 첫차부터 예정했던 파업을 전면 철회하고, 이날 부산지하철은 전 구간 정상 운행에 들어갔다.
이번 잠정 합의안의 핵심은 ▲정부 가이드라인에 맞춘 임금 3.0% 인상 ▲통상임금 범위 변경에 따른 법정수당 증가분 별도 지급 등이다. 특히 통상임금 관련 수당 증가분과 성과급 등은 공사의 어려운 재정 여건을 고려해 내년 1월에 소급 지급하기로 양측이 한발씩 물러섰다. 또한 공사의 자회사인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 노사 역시 50명의 인력을 충원해 내년부터 주 5일제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별도 합의를 이뤘다.
그동안 노조는 임금 5.9% 인상과 250여 명의 안전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해왔다. 반면 사측은 정부의 공공기관 임금 인상률 가이드라인(3.0%)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인력 충원은 재정난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 양측의 입장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시민 불편과 안전 공백이 막대할 것이라는 공감대 속에 양측이 대승적 차원에서 최종 합의에 이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잠정합의는 노사가 시민을 최우선으로 두고 교섭에 임해 거둔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건강한 노사문화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조만간 대의원대회와 조합원 총투표를 거쳐 잠정 합의안에 대한 최종 추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