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수사의 칼날을 김건희 씨의 모친 최은순 씨에게로 정조준했다. 특검팀은 최 씨가 운영하는 요양원에서 발견된 "경찰 고위직 인사 리스트" 등 핵심 증거물이 압수수색 과정에서 사라졌다며, 최 씨를 증거인멸 및 은닉, 수사 방해 혐의로 입건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특검은 추가 수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수사 기간을 30일 연장하기로 결정해, 특검 수사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김형근 특별검사보는 오늘(21일) 정례브리핑에서 "김건희 씨 모친의 사무실을 재압수수색하기 전 주요 물품이 의도적으로 빼돌려진 정황을 포착했다"며 증거인멸 혐의에 대한 수사 착수를 공식화했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 7월, 특검이 양평 공흥지구 특혜 의혹과 관련해 최 씨가 운영하는 경기 남양주시의 한 요양원을 압수수색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특검은 사무실 금고 안에서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당선 축하" 메시지와 함께 건넨 것으로 추정되는 금거북이와 편지, 그리고 현직 경찰 총경 2명과 경정 2명의 이력서가 담긴 인사 리스트 문건을 발견했다.
해당 문건은 김 씨 일가가 경찰 인사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매관매직" 의혹을 규명할 결정적인 증거물로 지목됐다. 하지만 특검은 당시 발부받은 영장의 압수 대상에 해당 물품들이 포함되지 않아(별건) 현장에서 이를 확보하지 못했다. 이후 특검이 인사 리스트 등을 압수하기 위한 새로운 영장을 발부받아 요양원을 다시 찾았을 때는, 이미 금고 안에 있던 인사 리스트와 관련 편지가 감쪽같이 사라진 뒤였다. 특검은 이 과정에 최 씨가 직접 개입해 조직적으로 증거를 인멸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이처럼 새로운 수사 단서가 계속 발견되고 있고, 기존 사건들의 조사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수사 기간을 30일 추가로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특검의 수사 시한은 기존 10월 29일에서 11월 28일까지로 늘어나게 됐다. 연장된 기간 동안 특검은 최 씨의 증거인멸 혐의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는 한편,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폭 무마 의혹 등 본류 수사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특검의 수사 범위가 김건희 씨 본인을 넘어 모친 최은순 씨의 사법 방해 혐의로까지 확대되면서, "국정농단" 의혹의 실체 규명을 둘러싼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특검이 연장된 수사 기간 동안 사라진 "인사 리스트"의 행방을 찾아내고, 그 배후에 있었을지 모를 "보이지 않는 손"의 실체까지 밝혀낼 수 있을지 온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