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건진법사 5천만 원 띠지' 분실, 대검 "실수" 보고에 법무부 "상설특검 검토"

박현정 기자 | 입력 25-10-23 18:22



"김건희 국정농단" 의혹의 핵심 인물인 "건진법사" 전성배 씨의 불법 자금 의혹을 규명할 결정적 증거인 "관봉권 띠지" 분실 사건이 법무부와 대검찰청 간의 정면충돌 양상으로 비화하고 있다. 대검찰청이 자체 감찰을 통해 "실무상 과실"이라는 결론을 내렸으나, 법무부가 "수사가 미진하고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며 사실상 결과를 불신임하고 상설 특별검사 도입을 검토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오늘(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찰청 감찰부는 최근 서울남부지검의 "관봉권 띠지 분실" 사건에 대한 수사 경과를 법무부에 보고했다. 대검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12월 전 씨의 자택 압수수색 당시 확보된 5천만 원 상당의 한국은행 관봉권 띠지가 사라진 것은, 현장 수사관이 현금을 세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무상의 과실"일 뿐, 검찰 윗선의 조직적인 증거 은폐 지시나 고의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검찰 조직 차원의 의도적 증거인멸 의혹에 대해 선을 그은 것이다.

하지만 법무부는 대검의 이러한 자체 수사 결과로는 의혹을 규명하기에 명백한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법무부는 관련 의혹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강한 불신을 바탕으로, 검찰의 "제 식구 감싸기"식 감찰이 아닌, 독립적인 상설 특검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원점에서 다시 규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의 수사 과정 자체를 다시 수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법무부의 이러한 강경한 입장은 이미 예견된 수순이라는 분석이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지난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법무부 국정감사에서 "관봉 사건 감찰 및 수사를 하고 있지만,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저희가 상설 특검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는 대검의 감찰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도 이미 수사 결과에 대한 불신을 내비치며 특검 도입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이었다.

이번 "띠지 분실" 사건은 단순한 실무 실수를 넘어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의 본류 수사를 방해한 중대 사안으로 꼽힌다. 지난해 12월 서울남부지검은 전 씨의 자택에서 5천만 원어치 100만 원권 관봉권을 포함한 거액의 현금다발을 확보했다. 이 관봉권 띠지는 돈의 출처와 인출자, 시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결정적인 증거였다. 그러나 남부지검은 수사 과정에서 띠지를 잃어버리는 어이없는 실수를 저질렀고, 결국 자금의 실체를 밝히지 못한 채 사건 기록을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팀에 넘겨야 했다.

법무부가 사실상 검찰의 고의적 증거인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상설 특검 카드를 만지작거리면서, 검찰 조직 내부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법무부의 요청으로 상설 특검이 현실화될 경우, 검찰의 수사 과정 자체를 특검이 수사하게 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펼쳐지며 그 파장은 실무 수사관을 넘어 검찰 지휘부 전체로 확산할 전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가유산 사유화' 논란 확산...윤석열·김건희 부부, 관람 마감 후 '곤녕합' 10분간 단독 출입 정황
인크루트 730만명 정보 유출 "방치", 4억대 과징금 철퇴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비트코인 1억 6천만 원대 횡보 속 '금 추월' 기..
이재명 대통령, 사정기관 정면 겨냥..."법치 파괴..
교촌치킨 '꼼수 인상' 논란에 백기...순살 중량..
"피 토하고 죽고 싶은 심정"...'쿠팡 수사 외압..
'국가유산 사유화' 논란 확산...윤석열·김건희 ..
'건진법사 5천만 원 띠지' 분실, 대검 "실수" ..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한국미디어일보 의료학술단체 ..
'거짓말쟁이’ 발언에 국감장 발칵…
오세훈-명..
인크루트 730만명 정보 유출 "방치", 4억대 과..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 '갭투자' 논란 끝 공식..
 
최신 인기뉴스
광복 80주년 기념 ‘홍익인간 효·인성 강연회 및..
종묘 이어 경회루까지...김건희, 국보 사적활용 의..
속보) 이재명 대통령 "권력 아닌 국민의 경찰 돼야..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국감 중반전, '사법개혁'·'부동산' 전선 격화...
선정성 논란 '메이드 카페', 청소년 무방비 노출 ..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대법원 "지귀연 판사 술값 170만 원, 징계 사유..
"코로나 진원지" 신천지 이만희, 적십자 회장 표창..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