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의 창업자인 김범석 의장이 지난해 말 보유 중이던 쿠팡 클래스A 보통주 200만 주, 한화 약 672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미국 자선기금에 전액 기부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매출의 대부분(90% 이상)이 한국에서 발생하는 기업의 창업자가 기부를 예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기부금을 미국으로만 증여한 것에 대해 '사회적 책임 방기'라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이 쿠팡으로부터 제출받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료에 따르면, 김범석 의장은 지난해 11월 11일 기준으로 쿠팡 클래스A 보통주 200만 주를 자선기금에 증여했다. 당시 종가(주당 약 24달러, 환율 1,400원 기준)로 계산하면 약 672억 원 규모다. 김 의장이 SEC에 제출한 공시 자료에는 기부처가 단순히 'a fund for charitable donations'로만 표기되어 있었으나, 안 의원실 확인 결과 해당 주식 200만 주 전액이 미국 내 자선기금에 기부된 것으로 드러났다. 쿠팡 측은 지난해 11월 김 의장의 주식 기부 계획 발표 당시, 기부가 한국을 포함한 국내외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모든 기부금이 미국으로만 흘러간 것이다. 이로 인해 한국 소비자들과 노동자들의 노력으로 성장한 기업의 이익이 정작 국내에는 환원되지 않고 해외로만 유출되었다는 점에서 '말 바꾸기' 논란과 함께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미국 시민권자인 김 의장이 세금 문제 때문에 한국 기부를 포기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미국 세법상 김 의장은 미국 정부가 인정한 미국 내 자선단체에 기부할 때만 조정소득의 60%까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주식으로 기부할 경우 더 많은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반면, 한국 단체나 해외 기관에 기부하면 세금 공제를 전혀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쿠팡 관계자들은 김 의장이 구체적으로 어느 자선단체나 기금에 주식을 증여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안호영 의원은 "쿠팡의 매출과 이익 대부분이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음에도, 창업자가 세금 절감을 이유로 미국에만 기부를 한 것은 사회적 책임에서 벗어난 행위"라며 유감을 표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쿠팡 측은 "기부금 배정과 운영 등 실무 진행을 위한 기부금 운영 계정이 미국에 있을 뿐"이라며 "해당 계정을 통해 국내 의료기관과 종교단체 등에도 지속적인 기부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기부금 운영 계정을 모두 미국에 둔 이유와 국내에 얼마나 기부했는지에 대해서는 "김범석 의장 개인 차원의 기부라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