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코스피 4천 돌파에도 절반은 손실…“불장 속 착시, 빚투 경계해야”

주민지 기자 | 입력 25-11-13 14:54



국내 증시가 4천 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지만, 실제 투자자들의 체감 수익률은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일부 대형주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지만, 전체 종목의 절반 이상은 주가가 제자리이거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지수 착시에 속아 무리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코스피는 지난 6월 19일 3,000선을 돌파한 이후 약 넉 달 만에 4,200선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오른 종목은 전체의 40% 수준인 415개에 그쳤다. 나머지 540개 종목은 보합이거나 최대 55%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상승 종목이 하락 종목보다 많았던 거래일은 34일에 불과했고, 64거래일은 주가가 하락하거나 정체된 종목이 더 많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75%, 152% 상승하며 전체 거래대금의 22%를 차지한 것이 지수 상승의 핵심 동력이었다. 반면 유통, 여행, 건설 등 내수 업종은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상반기에는 조선·방산·기계 업종이, 하반기 이후에는 반도체와 2차전지 업종이 시장을 주도했다”며 “모든 종목이 오르는 장세는 없다. 눌린 종목을 무리하게 매수하기보다는 업황과 수급을 선별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실제 증권사 고객 계좌 분석에 따르면, 반도체와 방산·원전 관련주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주로 수익을 냈고, 전체 투자자의 절반 이상은 오히려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나만 못 벌고 있다’는 심리가 확산되면서 빚을 내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달 들어 신용대출 잔액은 1조2천억 원가량 늘었고, 증권사 신용융자 잔고는 26조 원을 돌파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변동성이 큰 코스닥 시장에서 신용거래가 공격적으로 늘고 있어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단기 급등장일수록 ‘수익률 착시’와 ‘과잉 자신감’이 위험하다고 지적한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지수 상승만 보고 무리하게 차입 투자에 나설 경우, 일부 종목 조정 시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수익률보다 보유 종목의 구조적 경쟁력과 업황 지속성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불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의 급등세 속에서도 절반의 종목은 여전히 제자리다. 시장의 온도에 휩쓸리기보다, 자신에게 맞는 투자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지금 시점에서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5대 시중은행 신용대출 1주일 만에 1조 2천억 원 급증... 4년 4개월 만에 최대 폭
금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한덕수 전 총리, 국무위원 만찬 3차례에 1천557..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1%…두 달 만에 60%대 ..
코스피 4천 돌파에도 절반은 손실…“불장 속 착시,..
양재웅 정신과의원 환자 사망 사건, 주치의 구속·..
명륜진사갈비 본사, 가맹점주에 고리대금 의혹…금융당..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 수업만으로 ..
건강칼럼2) 안면 비대칭과 턱관절·피부 윤곽의 상..
새만금에 첫 철도 '새만금항 인입철도' 건설사업 본..
김건희 특검, 압수수색 영장에 '통일교 동원' 당대..
건강칼럼1) 골반 다이어트 "비움과 정렬"
 
최신 인기뉴스
단독) 파이온텍 2026-2027년 주식상장 Pla..
단독) 파이온텍 골반다이어트 K-뷰티 디렉터 혁신제..
단독) 파이온텍 K-뷰티 디렉터 탈모 과학 "이오와..
연세대 600명 대형 강의서 집단 부정행위…AI 활..
건강칼럼1) 골반 다이어트 "비움과 정렬"
코스피, 상승 출발하며 4000선 회복…AI 기술주..
속보) 법원, 이커머스 플랫폼 위메프에 파산 선고 ..
속보) 한동훈, “악의적 허위사실 유포” 정성호 법..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 대장동 항소 포기 집단 성명..
건강칼럼2) 안면 비대칭과 턱관절·피부 윤곽의 상..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