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국민의힘 "배임죄 대체 입법은 이재명 위한 방탄 입법"…대장동 핵심 혐의 지우기 시도 강력 비판

박수경 기자 | 입력 25-11-16 21:12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형법상 배임죄 대체 입법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을 위한 방탄 입법"이라 규정하며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국민의힘은 해당 입법 시도가 기업 활동 위축 방지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으나, 실상은 이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와 직결된 핵심 혐의를 무력화하려는 정치적 의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오늘 논평을 통해 "민주당과 정부는 기업인의 경제 활동이 위축된다는 이유를 앞세워 배임죄 폐지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는 경제 활성화가 아니라 이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와 직결된 '방탄 입법'이라는 지적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특히 이 대통령이 기소된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의 핵심 혐의가 바로 '배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배임이 분명하니 배임죄 자체를 없애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더 나아가 그는 "본인의 사법 리스크를 없애겠다고 배임 경제사범 전체의 죄를 통째로 없애는 것이 정상적인 국가의 모습인지 묻고 싶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배임죄가 가진 법적,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해당 법 개정 시도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최 대변인은 배임죄를 "국민 재산과 기업 주주들의 자산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규정하고, "정부·여당은 배임죄 폐지가 이 대통령 방탄을 위한 맞춤형 입법이라는 사실을 솔직히 인정하고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배임죄의 근본적인 기능을 훼손하면서까지 특정 정치인의 사법적 곤경을 해소하려는 시도는 용납될 수 없다는 여당의 단호한 입장을 반영한다.

조용술 대변인 역시 별도 논평을 통해 민주당의 배임죄 개편 추진을 "노골적으로 '대장동 유죄 탈출법'을 만들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고 직격했다. 조 대변인은 대장동 사건이 국민에게 수천억 원의 피해를 안긴 전형적인 '배임 게이트'임을 재차 상기시키며, "항소 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배임죄 폐지는 아예 피의자들의 부당 이익에 대한 '환수 포기' 선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배임죄 폐지 시도가 가져올 법적 공백과 그 결과를 경고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나경원 의원도 국회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의 배임죄 폐지 시도는 "대장동 공범들의 4천억 원 도둑질 죄를 지우려는 노골적인 탈옥 시도"라고 규정하며 이를 반드시 저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 의원은 또한 "공범들의 4천억 원 도둑질을 끝까지 추적, 환수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 대통령을 포함한 대장동 재판 피고인들의 재산은 물론 공범 피고인들의 보전재산 반환청구권에 대한 가압류를 통해 범죄 수익을 적극적으로 환수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대책까지 제시했다. 국민의힘은 이처럼 배임죄 입법 추진을 단순히 경제법 개정을 넘어선 중대한 사법 정의 훼손 행위로 판단하고 전방위적인 공세에 돌입한 상황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채상병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범인도피 혐의" 구치소 방문조사 4시간 30분 만에 종료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대형 화마 이틀째 진화 난항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SK 최태원 회장,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포함 6..
삼성그룹, 향후 5년간 국내에 450조 원 투자 발..
새벽배송 "무한 속도 경쟁"이 낳은 야간노동 논란…..
"서학개미" 이달 해외 주식 순매수 사상 최대치 경..
주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2년 만에 6%대 재진..
채상병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범인도피 혐의" ..
국민의힘 "배임죄 대체 입법은 이재명 위한 방탄 입..
"관봉권 띠지·쿠팡 퇴직금 의혹" 상설특검 임명 ..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대형 화마 이틀째 진화 난항
한강버스 좌초 사고, "시민 안전 위협하는 전시행정..
 
최신 인기뉴스
속보) 강원 속초 4성급 호텔 투숙객 수명 집단 "..
창원 도서관 인근 초등생 유인 시도…경찰 용의자 추..
세종시 아파트값 2주 만에 상승 전환…전세가격은 전..
건강칼럼1) 골반 다이어트 "비움과 정렬"
건강칼럼2) 안면 비대칭과 턱관절·피부 윤곽의 상..
단독) 파이온텍 K-뷰티 혁신브랜드 Series, ..
건강칼럼3) 탈모와 모상건막 상호 process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 수업만으로 ..
2026년도 수능, 난이도 상승…
상위권 가..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 논산지원 단독 재판 배정에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