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을 중심으로 향후 600조 원 규모의 투자가 지속될 것이라고 16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는 최근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교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국내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통해 경제 성장을 견인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기업인들의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 참석하여 이같이 언급했다. 최 회장은 이 대통령에게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끈 데 대해 감사를 표하며 "교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국내 기업들도 실질적인 경제 성장의 과실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특히 국내 투자와 고용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임을 강조하며 구체적인 투자 규모를 제시했다. 그는 "원래 2028년까지 128조 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으나,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비가 계속 달라지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만으로도 600조 원 정도 규모의 투자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며, 분명하게 투자할 수 있게 하겠다"고 언급하며 SK그룹의 중장기적인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막대한 고용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 회장은 "반도체 팹(Fab)을 하나씩 열 때마다 한 2,000명 이상 추가로 고용이 늘고 있다"며, 팹 건설 속도가 빨라질 경우 "거의 매년 1만 4천 명에서 2만 명 사이까지 고용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SK그룹의 투자가 단순히 시설 확충에 그치지 않고, 청년 일자리 창출과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최 회장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AI(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경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AI 인프라가 상당히 속도전"이라며 "저희도 좀 더 빠른 속도로 AI 데이터센터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밝혀, SK그룹이 반도체뿐만 아니라 AI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