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음주운전 끝에 징역형…5차례 처벌 전력 드러난 40대 운전자 법정 구속

강동욱 기자 | 입력 25-11-22 15:06



음주운전 전력이 무려 5차례나 있었던 40대 남성이 다시 술을 마신 채 운전대를 잡았다가 결국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반복적인 적발에도 불구하고 재범을 이어온 만큼 법원이 실형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음주운전 처벌 강화 논의가 다시 주목되고 있다.

법원에 따르면 A씨(40대)는 지난해 말 혈중알코올농도 기준치를 넘는 상태에서 차량을 운전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조사 결과 A씨는 이미 과거 음주운전으로 다섯 차례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범을 저질러 검찰은 상습 음주운전자로 분류하고 실형을 구형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판부는 A씨의 반복적인 범행을 문제 삼았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인은 이미 수차례 처벌을 받았음에도 다시 음주운전을 한 점을 볼 때 재범 위험성이 높다”며 “강한 경각심을 일깨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결국 A씨에게는 **실형(징역형)**이 선고됐으며, 선고 즉시 법정에서 구속됐다.

재판부는 다만 범행 당시 별도의 사고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형량을 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음주운전 전력만 다섯 차례라는 점이 판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음주운전 사고가 잇따르면서 상습 음주운전자에 대한 처벌 강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음주운전은 반복될수록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형 선고가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며 “특히 다수 전력을 가진 운전자는 사회적 위험 요소로 평가된다”고 지적했다.

경찰 역시 음주운전 단속을 강화하고 있지만, 처벌 이후에도 다시 운전대를 잡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제도 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재범률을 낮추기 위해 면허 취득 제한, 알코올 감지 장치 의무화, 음주운전 교육 프로그램 강화 등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한다.

이번 판결은 반복적 음주운전의 엄중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법원은 “음주운전은 자신뿐 아니라 타인의 생명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범죄”라며 강한 경고 메시지도 함께 남겼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전공의협의회, 국회 통과 '지역의사제'에 인재 양성 환경 선행 요구
의사·한의사, 이번엔 ‘미용 레이저’ 충돌…기준 부재 속 반복되는 갈등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조갑제 “국힘, 내년 지선 민주당 대승 후 소멸 가..
“한의사 가르치지마” 의협 공문… 의료기기 갈등 연..
주담대 금리 한 달 만에 상승세, 3%대 장기화
주식·금값 상승에도… 서민은 소외된 ‘K자 양극화..
조국 “한덕수 15년이면… 윤 무기징역, 김용현 3..
검찰, '패스트트랙 충돌' 민주당 박범계 벌금 40..
전국 영하권 강추위...주말 일시적 추위 주춤 후 ..
검찰, '패스트트랙 충돌' 국민의힘 전·현직 의원..
속보) 코스피, 뉴욕 증시 부진에 3970선 약세 ..
"계엄 해제 표결 방해 혐의" 국민의힘 추경호 체포..
 
최신 인기뉴스
속보) '국민 배우' 이순재, 향년 91세로 별세…..
전국 비, 황사 섞여 내리는 곳 있어 주의…초미세먼..
백종원 '남극의 셰프' 치킨난반 레시피, "PPL ..
이재명 대통령,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
4호선 오이도역 트롤리 궤도 이탈 사고 발생…수인분..
"셀프 거부 시도" 국가인권위 '헌법존중 TF' 설..
경기 광주 쿠팡 물류센터서 50대 근로자 사망…과로..
한동훈 전 대표, '새벽배송 제한 반대' 국회 국민..
칼럼) 빈센트 빌럼 반 고흐 "자연과 인간"
서울 노원구 고교에 "폭탄 테러" 허위 글…경찰 수..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