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고대병원, 외국인 간이식 생존자 국내 두번째 많아

최영기자 | 입력 14-03-18 22:08

140318_고대병원_외국인 간이식 1.jpg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고대병원에서 실시한 외국인 간이식 생존자는 총 7명으로 서울아산병원(12명)에 이어 가장 많은 환자 수를 기록했다. 라고 후와이어드가 보도했다. 

고대병원 간이식 전문협진팀장이자 장기이식센터 김동식 교수는 매우 까다로운 사체 간이식과 타 병원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버릴 뻔한 뇌사자의 간 이식을 수차례 성공시켜왔으며, 혈액형부적합 환자 역시 항체제거, 합병증 검사 등 난관을 이겨내고 성공적인 간이식을 실시하며 이식할 장기가 부족한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기하고 있다.

고대병원 간이식 환자는 특히 몽골환자가 많다. 외국인 이식환자 중 몽골환자는 고대병원이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워낙 몽골에 고대병원이 간이식을 비롯한 신장, 심장 등 이식분야에서 뛰어난 병원으로 잘 알려져 있고, 올 상반기에 개소예정인 ‘몽골 IMC 국제병원’을 통하면 수술뿐만 아니라 귀국 후에도 고대병원 수준의 의료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어 몽골환자가 고대병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몽골 IMC 국제병원’ 은 고대병원의 의료서비스는 물론, 시설・환경・시스템 전반에 걸쳐 기술이전이 이루어진 병원으로 지난 2012년 협력체결이후 의사, 간호사, 행정직 등 직원들이 고대병원에서 수개월에 걸쳐 관련 분야 연수를 받고 갔으며, 현재 개소를 앞두고 몽골어에 능통한 이식혈관외과 박관태 교수를 비롯한 의료진 4명과 수간호사 1명이 파견되어 있다. 향후 고대병원에서 간이식을 비롯해 치료를 받은 몽골환자들의 수술 후 관리를 담당할 예정이다.

김동식 교수는 “ 장기기증이 활성화되지 못한 국내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최대한 뇌사자 및 기증자의 장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의료진이 노력해야한다”며 “그런 의미에서 실시했던 많은 수술들이 좋은 결과를 나타냈고, 외국인들에게까지 고대병원에 가면 살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고 말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이상 황제노역 없어, 지역법관제도 사라진다
하남, 서울외곽순환도로 잇는 ‘인도교 설치’기공식 개최
의료계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조갑제 “국힘, 내년 지선 민주당 대승 후 소멸 가..
“한의사 가르치지마” 의협 공문… 의료기기 갈등 연..
주담대 금리 한 달 만에 상승세, 3%대 장기화
주식·금값 상승에도… 서민은 소외된 ‘K자 양극화..
조국 “한덕수 15년이면… 윤 무기징역, 김용현 3..
검찰, '패스트트랙 충돌' 민주당 박범계 벌금 40..
전국 영하권 강추위...주말 일시적 추위 주춤 후 ..
검찰, '패스트트랙 충돌' 국민의힘 전·현직 의원..
속보) 코스피, 뉴욕 증시 부진에 3970선 약세 ..
"계엄 해제 표결 방해 혐의" 국민의힘 추경호 체포..
 
최신 인기뉴스
백종원 '남극의 셰프' 치킨난반 레시피, "PPL ..
"데이터센터 열 잡고 달 기지 건설까지"… K·딥..
경기 광주 쿠팡 물류센터서 50대 근로자 사망…과로..
'살아있는 전설' 최형우, 9년 만에 삼성 라이온즈..
한동훈 전 대표, '새벽배송 제한 반대' 국회 국민..
속보)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540억..
"초코파이 절도" 오명 벗은 보안업체 직원, 항소심..
지귀연 재판부 유지… 전현희 “내란 전담은 2심부터..
속보) 조은석 특검팀, '12·3 비상계엄' 한덕..
속보) 코스피, 뉴욕 증시 훈풍과 AI 강세에 5거..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